“문제는 그 근간을 이루는 요소 각각이 의미하는 본질적인 정신보다는 겉으로만 보이는 얕은 판타지성 메세지로 포장되어있는 경우가 많고, 실제로는 돈을 미친듯이 추구하지만 그렇지 않은 척 하면서 정부 주도 키워드나 유행하는 키워드만 생각 없이 따르면서, 정작 시장과 고객은 뒷전에 과거 벤쳐시절의 한물 간 성공 방정식이나 해외 사업모델을 기준으로 한다. 기존 산업이나 기업을 구태의연한 혁신의 대상으로 정의하고 적으로 규정해서 스타트업이 뭔가 다른 것처럼 행동하며 그 무엇보다도 더 올드한 적폐인 패거리 문화를 형성한다. 지금 이 바닥 주류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케이스들 대부분 한 두가지의 옛날 성공경험을 지겹게 반복적으로 우려먹으면서 그런 사고 방식과 행동을 하고 새로운 스타트업들도 그렇게 만들거나 한 배에 타도록 강요한다.”

우리나라 스타트업은 독특한 환경에서 시작된 듯하다

Brunch Story

우리나라 스타트업은 독특한 환경에서 시작된 듯하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30일 오전 12:4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08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4 • 조회 1,355


    🎈2025 NYU REUNION DAY! 테헤란로 소진언니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