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그 근간을 이루는 요소 각각이 의미하는 본질적인 정신보다는 겉으로만 보이는 얕은 판타지성 메세지로 포장되어있는 경우가 많고, 실제로는 돈을 미친듯이 추구하지만 그렇지 않은 척 하면서 정부 주도 키워드나 유행하는 키워드만 생각 없이 따르면서, 정작 시장과 고객은 뒷전에 과거 벤쳐시절의 한물 간 성공 방정식이나 해외 사업모델을 기준으로 한다. 기존 산업이나 기업을 구태의연한 혁신의 대상으로 정의하고 적으로 규정해서 스타트업이 뭔가 다른 것처럼 행동하며 그 무엇보다도 더 올드한 적폐인 패거리 문화를 형성한다. 지금 이 바닥 주류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케이스들 대부분 한 두가지의 옛날 성공경험을 지겹게 반복적으로 우려먹으면서 그런 사고 방식과 행동을 하고 새로운 스타트업들도 그렇게 만들거나 한 배에 타도록 강요한다.”

우리나라 스타트업은 독특한 환경에서 시작된 듯하다

Brunch Story

우리나라 스타트업은 독특한 환경에서 시작된 듯하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30일 오전 12:4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오픈소스로 완성하는 AI Full Stack

    AI와 관련된 수 많은 오픈소스들이 쏟아지면서 오픈소스 생태계는 그야말로 AI 오픈소스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LangChain의 성공을 시작으로 많은 오픈소스들이 나오면서 AI 업계 시스템을 빠르게 메꾸고 있기도 합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31 • 조회 8,360


    DDD와 액터

    D

    ... 더 보기

    WEBNORI

    wiki.webnori.com

    WEBNORI

    요즘처럼 기업의 윤리경영이 화두가 된 적이 없는 것 같다. 과거에는 일종의 면죄부가 있었다. “능력이 있으면 되지, 도덕성까지 요구할 수 있나?”는 의식이 은연중에 자리 잡고 있었다.

    ... 더 보기

    [CEO 심리학] 도덕성과 능력은 별개?…한몸처럼 움직여야 이득 - 매일경제

    매일경제

    [CEO 심리학] 도덕성과 능력은 별개?…한몸처럼 움직여야 이득 - 매일경제

    조회 187


    < 혹시, 리더인 당신 혼자서만 일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

    1. 나는 관리자의 결과물이 그가 관리하는 조직의 결과물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 더 보기

    저는 cross-platform application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더 보기

    조회 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