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에서 새로운 이벤트를 진행한다. 그 이벤트 홍보영상이 아주 재미있다. 당근마켓 이용자가 자주 겪는 생각과 상황을 뮤지컬의 한 장면처럼 표현한 것. 이용자의 경험에 초점을 맞춰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아주 재미있는 광고라는 생각이 든다. 당근마켓 서비스 자체가 고객 경험을 극대화하고 그들의 불편함을 최소화 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데 그 불편함을 아주 위트있게 잘 풀어낸다. 당근이세요 라는 문구가 쓰인 당근전용 가방도 당근 거래를 하며 고객이 느끼는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생겨났을 것이다. 당근 거래로 인해 겪게 되는 고객의 불편함이 아닌 하나의 에피소드로 볼 수도 있었을텐데 그 포인트를 잘 잡아 마케팅 요소로 쓰는 것 같다. 특히 이 영상에서 나오는 상황이 각종 커뮤니티에서 봤던 당근 마켓의 후기, 누구나 공감하던 내용이라는 점에서 마케터의 세심함이 보인다. 다소 과장되게 표현하지만 굉장히 현실성이 넘친다. 당근마켓에서 광고나 새로운 시도를 하면 항상 기대하게 되는 것 같다. 공감과 재미를 한번에 느낄 수 있는 캠페인이다.

혹시 아니면 어떡하나, "당근이세요?" 이용자 경험 이벤트

n.news.naver.com

혹시 아니면 어떡하나, "당근이세요?" 이용자 경험 이벤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일 오전 5:2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오프라인 강의] 취업 전략

    회사에서 진행하는 무료 강연 계획이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 초대하고 싶습니다.

    ... 더 보기

    조회 712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