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의 접속 시간은 인스타그램의 그것을 뛰어넘은 지 오래입니다. 그리고 그 비결은 틱톡의 뛰어난 추천 알고리즘에 있습니다. 틱톡은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영상을 "잘" 시청했는지 분석합니다. 사용자가 영상을 끝까지 시청하거나 재시청하는 비율이 영상의 추천 점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공유, 댓글, 좋아요는 생각보다 점수가 낮습니다. <틱톡 영상 추천 점수표> ✔️재시청 비율 (Rewatch rate) = 10 Points ✔️시청 완료 비율 (Completion rate) = 8 Points ✔️공유 (Shares) = 6 Points ✔️댓글 (Comments) = 4 Points ✔️좋아요 (Likes) = 2 Points 팔로워가 많은 계정의 비디오가 노출될 확률이 높지만, 팔로워 수 자체나 과거 영상 성적은 추천 시스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틱톡의 추천 알고리즘의 강점은 취향에 맞는 크리에이터가 있다면 팔로워 수가 많지 않더라도 영상이 추천된다는 것입니다.

틱톡이 사용자를 사로잡는 방법

Brunch Story

틱톡이 사용자를 사로잡는 방법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9일 오후 1:3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오프라인 강의] 취업 전략

    회사에서 진행하는 무료 강연 계획이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 초대하고 싶습니다.

    ... 더 보기

    조회 678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