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우리는 너무 빨리, 그리고 지나치게 추구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김문철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현재 AI 기술 개발의 축은 두 개로 나뉜다'며 '하나는 복잡도나 전력 소비를 생각하지 않고 성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을 추구하는 방향이고 또 하나는 저복잡도의 인공지능 하드웨어를 만드는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주를 이루는 전자가 복잡도를 신경 쓰지 않고 AI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끝까지 가보자는 쪽이라면 후자는 이런 방식은 실제 상황에 이용하기 어렵다고 보고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AI를 만드는 것이다."

AI가 기후변화와 불평등 악화시킨다

Khan

AI가 기후변화와 불평등 악화시킨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4일 오전 5:3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취업 코칭 AI 프롬프트를 사용해보세요.

    ... 더 보기

     • 

    저장 14 • 조회 1,812


    실서비스에 반영할 기능을 가끔 바이브 코딩만으로 개발 해 보는데, 두어달 전만해도 어려웠던 구현이 이제 벌써 가능해졌다.

    ... 더 보기

    기초 프로그래밍을 좀 더 열심히 공부할 걸..

    ... 더 보기

    < 창조도 결국, 뒷받침이 필요하다 >

    1. 회사의 본체는 오히려 사무에 있습니다. 연구 성과든 작품이든 뭐든 ’상품‘은, 사무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으면 나올 수 없습니다.

    ... 더 보기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의 첫 책 <진짜의 마인드>를 읽었다. ‘삶의 본질에 집중하는 태도에 관하여‘라는 카피에 혹해서. 무엇보다 JTBC 축구 예능 ‘뭉쳐야 찬다’에서 본 그의 유니크한 플레이의 근원이 궁금해서.

    ... 더 보기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n.news.naver.com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디자인 컴포넌트 기반 AI 프로토타이핑

    A

    ... 더 보기

    - YouTube

    www.youtube.com

     - YouTube

     • 

    저장 14 • 조회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