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페로브스카이트, 반응속도 20ns 포항공대 이장식 교수팀이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한 저항변화메모리 소자를 개발했습니다. 저항변화메모리는 전원이 꺼지더라도 저장된 정보가 그대로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입니다. 전압에 따라 고저항 상태에서 저 저항상태로, 또는 반대 상태로 바뀌는 현상을 이용하는데요. 페로브스카이트는 저항변화 특성을 제어 할 수 있지만 느린 동작 속도가 한계였습니다. 다이머 구조의 'Cs3Sb2I9'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로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들보다 빠른 속도의 동작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반응속도가 무려 1억분의 2초, 20ns라고 하네요. AI, 자율주행차, IoT, 5G 등 기술의 발달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에 처리해야 하는데, 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AI·자율주행차 메모리용 신소재 개발

n.news.naver.com

AI·자율주행차 메모리용 신소재 개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3일 오후 12:3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50세 이전에 임원 안되면? 그럼 나가야지! I 대기업 임원 퇴사 이유

    5

    ... 더 보기

    < 뇌를 가장 빠르게 바꾸는 3가지 방법 >

    1. 뇌를 재설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더 보기


    ‘명 선수는 명 감독이 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이 감독이 되었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기에 생겨난 말이다. 신이라 불리던 디에고 마라도나도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감독을 맡았지만 남아공 월드컵에서 그들 기준에 한참 못 미친 8강에 그쳤다.

    ... 더 보기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조회 438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 해결책 과잉 시대, 이제는 의미가 답이다 >

    1. 과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해결책의 양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