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시대의 통신사에서 할 수 있는 사업_Network] AWS, Azure, Google Cloud Platform은 국내 시장을 크게 점유하고 있다. 클라우드 산업을 리딩하고 있는 이러한 CSP들이 가지고 있지 않는 사업 영역은 무엇일까? 바로 '네트워크'이다. 국내 네트워크 Backbone은 통신사 3사(KT, SKT, U+)만이 할 수 있다. 어찌 보면 성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시장에서 통신사들이 선점할 수 있는 영역인 것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 하나의 CSP가 아닌 여러 CSP를 사용하는 멀티클라우드의 수요가 증가하였다. (ex. AWS + Azure, Aure +NCP 등) 기존에는 CSP 당 전용회선을 하나씩 깔아야 했는데, SKT의 클라우드 허브는 하나의 전용회선으로 멀티 클라우드 연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클라우드에서 네트워크는 필수재와 같은 요소이다. 자사의 사업 강점을 잘 상품화한 사례라 판단된다.

SK텔레콤, 클라우드 네트워크 통합솔루션 'SKT 클라우드 허브' 출시

CIO Korea

SK텔레콤, 클라우드 네트워크 통합솔루션 'SKT 클라우드 허브' 출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8일 오전 7:4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대기업 상무 연봉 진짜 얼마인지 알려드립니다

    ... 더 보기

    AI로 인해 영어는 이제 진짜 말하기만이 답 입니다. 그리고 말만 할 줄 알면 기회가 정말 크게 넓어질거구요.


    이제는 모두가 체감하고 있듯이 앞으로 영어로 읽기 쓰기는 큰 의미가 없어지겠지만, 말하기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거든요.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2,950


    한 명의 리더가 일으키는 기적은 놀랍다. 한국도 많은 리더가 있었다. 그러나 요즘엔 국가의 리더는 별로 안 보이고 나라 안팎에서 구설수에만 오르고 있다. 신뢰와 화합의 리더십은 바닥이다. 인간다운 도리와 설득력, 역량이 없고 마음은 황폐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 더 보기

    [천기덕 칼럼] 리더와 꼰대의 '비소리와 공소리' - 1코노미뉴스

    1코노미뉴스

    [천기덕 칼럼] 리더와 꼰대의 '비소리와 공소리' - 1코노미뉴스

    조회 216


    < 성공하는 사람은 '왜', 실패하는 사람은 '어떻게'를 묻는다 >

    1.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갖기 쉬운 프레임은 대개 하위 수준이다.

    ... 더 보기

    👠블로그마켓에서 일본 시부야까지, 마뗑킴이 브랜드가 되기까지

    ... 더 보기

    마뗑킴은 지속 가능한 브랜드가 되려 합니다

    www.openads.co.kr

    마뗑킴은 지속 가능한 브랜드가 되려 합니다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