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케이스 스터디를 할 때, 꼭 해야하는 것. 핵심은, ‘나’의 사례 혹은 ‘내가 진행하고 있는 것‘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라는 문제입니다. 바로 “So what?” 입니다. 저는 운이 좋게도, "So What?"에 날카롭게 물어보시는 대학교 4학년 때의 지도교수님을 통해 잠깐이나마 훈련해볼 수 있었습니다. “So what?“을 찾게 되었다면, 별 내용이 아니더라도 어디에든 메모를 간략하게 해둔다면, 이후의 ‘나’가 비슷한 상황에 처해졌을 때, 올바른 의사결정 프레임워크를 발동시켜서 빠른 시간 내에 훌륭한 인사이트를 얻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케이스 스터디 어떻게 할 것인가

Brunch Story

케이스 스터디 어떻게 할 것인가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20일 오후 2:4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50세 이전에 임원 안되면? 그럼 나가야지! I 대기업 임원 퇴사 이유

    5

    ... 더 보기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 해결책 과잉 시대, 이제는 의미가 답이다 >

    1. 과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해결책의 양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더 보기

    ‘명 선수는 명 감독이 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이 감독이 되었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기에 생겨난 말이다. 신이라 불리던 디에고 마라도나도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감독을 맡았지만 남아공 월드컵에서 그들 기준에 한참 못 미친 8강에 그쳤다.

    ... 더 보기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조회 293


    《23분》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