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실사화 프로젝트 중 하나인 <뮬란>의 개봉일이 3월로 확정되었다. 1998년에 만들어진 애니메이션 '뮬란'을 22년만에 실사영화로 선보이는 것. 포인트는 두 가지다. 하나는 디즈니가 꾸준히 선보이고 있는 '실사영화'가 디즈니가 보유한 수많은 지적재산권(IP)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며 주요 성장축으로 완전히 자리매김했다는 것,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뮬란' 처럼 여성 감독이 만드는 여성 히어로물이 더 많이 등장하는 2020년이 될 것이라는 사실이다.  ① 2020년은 디즈니 실사화 프로젝트의 중간기점? 디즈니는 2014년 이후 꾸준히 자사의 애니메이션 명작들을 리메이크한 실사 영화를 만들어왔다. 나열하자면 말레피센트 (2014) - 신데렐라 (2015) - 정글북 (2016) - 미녀와 야수 (2017) - 곰돌이 푸 (2018) 순이다. 2019년에는 덤보, 알라딘, 라이온킹 세 작품을 잇달아 개봉하며 완전히 이 프로젝트를 관객들에게 각인시켰고, 올해는 유역비 주연의 '뮬란', 내년에는 101마리 달마시안의 스핀오프인 엠마 스톤 주연의 '크루엘라'가 확정되어 있다.   매년 놀라움을 안겨주는 디즈니지만, 뮬란 후에도 아직 남아있는 지적재산권이 어마어마하다. 50여 편에 달하는 장편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백설공주', '피노키오', '밤비', '인어공주' 같은 캐릭터들이 아직 창고에 잠자고 있으며 출격 시점만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디즈니의 저력이 무서워지기까지 한다. 가장 최근에 개봉한 58번째 애니메이션 '겨울왕국2'의 성공을 통해 콘텐츠의 힘을 보여준 디즈니가 스트리밍의 시대에 어떻게 실사화 프로젝트 등을 활용해 미디어 왕국을 수성할 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겨울왕국 실사는 언제쯤?) ② 디즈니가 보여줄 새 여성 히어로🦸🏻상은? 뮬란의 주인공인 화목란은 중국 위진남북조 시기 중 북위 효문제 시대(471-499)의 인물로 추정되는 여성이다. 실존인물이 아닌 <목란사>라는 짧은 시의 주인공인데, 우리나라로 치면 '춘향'이나 '심청' 같은 문학작품 속 인물인 셈이다. 그러나 완전히 허구의 인물로 보기보다는 <홍길동전>의 홍길동처럼 그 당시 시대상 속에서 모델이 된 사람이 존재하고 그를 바탕으로 작품이 지어졌을 것이라는 학계의 일반적인 추정이다. (북위 왕조는 북방 유목민족 중 하나인 선비족이 세운 왕조이고, 유목민 세계에서는 농경민족에서보다 여성의 지위가 높아 정치 권력자나 전쟁을 이끄는 여성 지도자들도 종종 나왔다고 한다.) 이런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디즈니가 콘텐츠로 한 번 재탄생시킨 '목란'을 2020년으로 다시 소환해낼 사람이 뉴질랜드 출신 여성인 니키 카로 감독과 중국 출신 배우 유역비라는 사실 역시 새겨볼 필요가 있다. <원더우먼>, <블랙위도우> 등 여성 감독과 배우가 만나 빚어내는 여성 영웅의 모습을 다양한 형태로 만나게 될 2020년, 디즈니가 ‘뮬란’을 통해 이 시대의 관객들에게 제시할 인물상은 과연 어떻게 다를지? '겨울왕국' 에서도 이미 보여준 바 있지만, 새로운 시대에 맞게 콘텐츠를 가공하는 디즈니 특유의 내공이 잘 발현된다면 원작을 넘는 작품도 조심스레 기대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원더우먼, 뮬란, 할리퀸까지...2020 할리우드는 '여인천하'

Digital Chosun

원더우먼, 뮬란, 할리퀸까지...2020 할리우드는 '여인천하'

2020년 1월 13일 오후 9:48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