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읽은 글 중에 가장 끄덕이며 읽은 기사. 이거랑 Who로 시작하라는 브런치 번역 기사도 그렇고 결국 제품 (콘텐츠, 서비스 모두 포함) 은 코어 팬덤 10~20%를 빠르게 모으는 게 핵심인듯. 그들을 찾고, 만족시키기만 한다면 서비스를 확장시키는 건 (나름의 고충이 있지만) 시간의 문제가 아닐까. 가장 까다로운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일이기에. 별개로 카카오 메이커스는 요즘 좀 실망스럽긴 함. 퍼블리에 썼을 정도로 처음부터 상당히 많이 쓰고 좋아했는데, 요즘 들어가보면 초기의 취지는 사라졌고 그냥 미니 홈쇼핑 된 느낌. 내가 굳이 홈쇼핑이라고 적은 이유는 제품의 구성, 소개 페이지 느낌 등 전반적으로 묘하게 올드한 느낌이 나서. 카카오톡이 늙어서 그런 걸까? 근래 들어 와우! 라고 외칠 만한 제품은 카카오 연말 기념 후디밖에 없었다. 요즘 사면서 재밌다! 라는 생각이 든 서비스는 아이러니하게도 무신사밖에 없음. 그 기묘한 프로모션에 빠지는 내 모습이 웃겨서. 다만, 앱이 너무 느리고 구려서 잘 안 쓰게 됨.

VCNC, 쏘카의 2019년을 보내며 정리한 10가지 배움

VCNC Blog

VCNC, 쏘카의 2019년을 보내며 정리한 10가지 배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13일 오후 11:1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선택 사항으로서의 고통》

    P

    ... 더 보기

    OpenAI가 발표한 Codex의 핵심은 AI와 함께 진짜 팀으로 일하는 것 같은 경험을 준다는거네요.


    기존의 코딩 어시스턴트는 Agent라는 이름을 붙였어도 결국은 자동완성의 확장에 그치는 것이라, 즉, 나의 뇌를 확장하는 것이라 한계가 좀 명확했는데요.


    ... 더 보기

    이력서 버전 5.5까지 갈아 끼웠는데 400군데 탈락했어요!

    ... 더 보기


    무너지고 있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직군의 경계에 대한 고찰

    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

     • 

    저장 32 • 조회 3,924


    타입 안전한 API 모킹으로 프론트엔드 생산성 높이기

    이번에 우아한형제들 기술 블로그에 "타입 안전한 API 모킹으로 프론트엔드 생산성 높이기"라는 새 글을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