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한국 경제는 '진흙탕을 걷는 모습'?
중앙시사매거진
전문가들이 부동산 가격이 급등한 이유를 여러가지로 말하지만, 내게 가장 설득력 있는 말은 "부동산 가격이 오른게 아니라 돈 값이 떨어진거다"였다. 국내 통화량은 2009년 대비 약 2배 수준이 됐고, 통화가치가 떨어지면 현금을 들고 있는 것이 리스크기 때문에 실물자산 가격이 오른다. 부동산 가격의 급등은 전세계적인 현상인데 국내 매수자를 묶는다고 가격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진 않다. "2020년 경제에서 또 하나 중요한 주제는 부동산과 통화량 문제다. 우리 경제 내의 총통화량(M2) 지표를 보면 2009년 9월 말 기준 1530조원 정도였는데, 2019년 9월 말에는 2855조원 수준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10년 만에 거의 두 배 수준이 됐으니, 연평균 약 7%씩 증가한 셈이다. 그런데 물가는 1%대로 물가상승률이 통화증가율보다 훨씬 낮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저금리 기조에서 통화량은 늘어나고 있는데 생산적 분야가 아닌 일부 지역 부동산으로 자금이 급격히 흘러들면서 가격 급등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2020년 1월 14일 오전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