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읽어 드립니다. 여성가족부 폐지가 이슈다. 어떻게 봐야 할까? 정치적 호불호의 이슈가 아니다. 함께 살아가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관심이다. <잘 못하면 없애기>는 답이 아니다. 그럼 누구도 도전하지 않는다. 그 렇게 이끌면 결과는 "아무 것도 변하지 않음"이다. 이는 사회도, 조직도 마찬가지다. 회사에서 일을 하는데 뚜렷한 성과가 나지 않는다고 그 일을 하는 부서를 없앤다? 그럼 그 회사는 계속 "그냥 그냥" 일하는 사람들로만 남는다. 그래서 없앨 게 아니라 <잘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해 줘야 한다. 물론 여기엔 전제가 있다. 그 일이 "할 만한 가치"가 있어야 한다. 그럼 현재의 여성가족부는 가치있는 일을 하는가? 세 가지 질문을 들으면, 그들이 해야 할 일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1. 혼자 택시 타는 걸 두려워해 본 적이 있는가? 2. 화장실에서 보이지 않는 누군가의 시선을 두려워해 본 적이 있는가? 3. 결혼과 출산 이후 펼쳐질 일상의 변화를 두려워해 본 적이 있는가? 남자인 내 입장에선 모른다. 아니, 솔직히 '그게 왜 두렵지?'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그만큼 여성은 여전히 세상에서 약자다. 그래서 이들을 위한 정책의 고민이 필요한 거다. 삶의 하나하나에 여전히 뿌리깊이 남아있는 남성 중심의 문화를 바꾸기 위해 고민하고, 양성이 "진짜" 동등한 사회를 만드는 게 국가의 역할이다. 승리한 정권의 전리품으로 주어지는 장관 자리니까 없애자? 성별 갈등을 조장하니까 없애자? 아니, 그건 해결책이 아니다. 그게 전리품이 되지 않게끔, 갈등을 해결할 수 있게끔, 제대로 일하게 만들어 주는 게 솔루션이다.

정현백 전 장관 "여가부 사라지면 모두 불행···코로나 이후 생각하면 더 강화해야"

n.news.naver.com

정현백 전 장관 "여가부 사라지면 모두 불행···코로나 이후 생각하면 더 강화해야"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7월 8일 오전 10:4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9년째 스타트업과 로컬 비즈니스를 육성하는 동시에 직접 투자도 병행하고 있는 입장에서 시드나 프리A, 시리즈A 단계 투자 대상으로 요즘 계속 지켜보고 있는 분야나 주제가 몇 있다. 작년과 올해초 이 바닥 투자 이야기하면서 이미 언급해오긴 했는데 아직 변동 없다.


    수직형 AI 기술과 서비스은 몇년째 꾸준히 살피고 직접 투자도 진행했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주요국 경제상황이 안좋다는 점에서 먹고 사는 문제, 의식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만한 아이템을 선별해서 분석하고 투자도 집행했다. 같은 이유로 소비를 최소화

    ... 더 보기

    포트폴리오는 장기자랑이다

    

    ... 더 보기

    마이웨이

    

    ... 더 보기

    정부는 이런 관행이 기관의 단타 매매와 새내기주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의무 보유 확약 물량이 40%(올해는 30%)에 미치지 못하면 주관 증권사가 공모주의 1%를 6개월 동안 반드시 보유하도록 했다. 약 20% 수준이었던 의무 보유 확약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지 못하면 주관사가 공모주 인수에 따른 리스크를 안게 되는 만큼 부담이 크다.

    ... 더 보기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서울경제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 진보는 조용히 오고, 파괴는 시끄럽게 온다 >

    1. 문제는 고쳐지고 사람들은 적응한다. 위협이 크면 해결책이 나올 동인도 똑같이 커진다.

    ... 더 보기

    동고동락 팀워크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