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의 지속적인 운영에 기여하는 마이크로카피 ] ☑️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역할은 기본적인 기능으로 구성되고, 이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유가 된다. 그러한 사용자들에게 기능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어떤 보상을 제공해야 하는지, 이를 모두 포괄하는 동기가 필요하다. => 이 과정을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 라고 일컫고, 사용자들은 이 루프 위에서 무한히 움직인다. 🔘 맥락(Context) - 사용자가 특정 상황에서 무엇을 했는지를 기반으로 다음 피드백 유도 🔘 속도(Speed) - 쌍곡형 할인에 따르면 사람은 현재에서 더 과거 혹은 미래에 가까운 사건을 비교적 덜 중요하게 느끼는 심리가 있음 🔘 동기(Motivation) - 가장 결정적인 영향력을 지니고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에 대한 할인 쿠폰 지급으로 특정 액션 유도 🔘 측정가능성(Measurability) -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빠른 액션을 취하고자 한다면 측정가능한 피드백 필요 ☑️ Hook 모델을 통해 최고의 프로덕트가 아니더라도 인기 있는 제품이 될 수 있고,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프로덕트를 사용한다. 1. 계기(Trigger) - 외부 계기 : 멋진 앱 아이콘, 서비스를 알리는 이메일 등 사용자가 서비스를 접하게 만드는 과정 - 내부 계기 : 이미 서비스를 한 번 사용한 사용자가 다시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만드는 과정 (지루 & 무가치함을 느끼지 않도록 주의) 2. 액션(Action) :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장치 3. 보상(Reward) : 이렇게 서비스를 사용한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당근 (필수 X, 부가적인 효과) 4. 투자(Investment) : 사용자가 예측되는 장점을 취하기 위해 행동하는 것 (트위터로 유용한 정보 습득) -> 서비스의 피드백을 낳고 이는 내부 계기가 되어 모델의 지속적인 운용 유도 🖋 마이크로카피란? - 피드백 루프 속 서비스와 사용자의 상태를 알리는 역할로, 단순히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알리는 데 그치지 않고 상황을 창조함. - 접근성이 좋은 카피를 지속해서 배치하여 맥락을 조립하여 제공하고, 잘 짜인 마이크로카피는 사용자가 자신의 동기가 어떤 것인지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함. - Hook 모델에서 훌륭한 액션인 마이크로카피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어떤 이점을 얻었는지,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끊임없이 부각한다. 즉, 사용자는 서비스와 브랜드를 신뢰하게 된다는 것! ✍🏼 짧은 코멘트 피드백 루프와 Hook 모델이라는 개념을 통해 서비스에서의 사용자의 흐름을 배울 수 있었다. 특히 훅 모델을 이해하면 다양한 서비스를 공부하는 것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기획하는 사람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UX 라이터까지 채용할 정도로 UX에서 카피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완성도와 만족도가 높은 마이크로카피를 통해 서비스만의 개성을 만들어내어 사용자에게 신선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내용이 인상 깊었다.

손톱만한 카피로 할 수 있는 일 | 매거진 입맛

매거진 입맛

손톱만한 카피로 할 수 있는 일 | 매거진 입맛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8월 7일 오후 1:3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6년간의 토이프로젝트 여정을 마무리하며 -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 회고록

    ... 더 보기

    6년간의 토이프로젝트 여정을 마무리하며 -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 회고록

    taetaetae.github.io

    6년간의 토이프로젝트 여정을 마무리하며 -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 회고록

     • 

    댓글 1 • 저장 9 • 조회 1,974


    < 이직을 고민하는 당신이 던져야 할 단 3가지 질문 >

    1. 커리어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일단 내가 가진 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남들의 시선과 판단도 무시할 수 없다. 이직 트렌드와 경향도 살펴봐야 한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7 • 조회 987


    < 왜 나는 그때 그 선배의 말을 듣지 않았을까? >​

    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

    ... 더 보기

    특히 AI·바이오·우주항공 등 기술 난도가 높은 분야에선 검증된 경력직 심사역이 희소하기 때문에, 수억원의 연봉을 제시하는 오퍼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 더 보기

    "부르는 게 값"…VC업계, '즉시 전력감' 심사역 모시기 경쟁

    www.investchosun.com

    "부르는 게 값"…VC업계, '즉시 전력감' 심사역 모시기 경쟁

    창업과 사업에 대해 막연한 환상을 갖고 계신가요? 혹은 관심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어서 고민이신가요?

    ... 더 보기

    [B라운지] (회사 이후의 삶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 선명하게 다듬기 : PBR

    www.pbr.kr

    [B라운지] (회사 이후의 삶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 선명하게 다듬기 : PBR

    < 잡초를 없애려면 잡초 말고 오히려 잔디를 깎아야 한다 >

    1. 자기 철학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일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