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 성공의 이면> 1. 2006년 미국경제조사원 소속의 경제학자, 올리케 말멘디어와 스테판 나겔은 50년간의 미국 소비자 금융실태 조사 결과를 파고들었다. 미국인들이 돈을 어떻게 다루는지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자료였다. 2. (자료를 분석한) 두 경제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발견한 바에 따르면, 개별 투자자의 위험 선호도는 개인의 경험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보인다” 3. (다시 말해, 한 개인의 투자 의사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능도, 교육도, 세상 경험도 아니었다. 순전히 언제, 어디서 태어났느냐는 우연에 좌우된 것이다. (빌 게이츠의 성공도 마찬가지다) 4. 빌 게이츠는 (어린 시절) 컴퓨터가 있는 중고등학교에 다녔는데, 당시에 이런 학교는 전 세계에 몇 되지 않았다. 5. (빌 게이츠가 다닌) 시애틀 외곽에 있는 레이크사이드 중고등학교에 컴퓨터가 생긴 과정도 놀랍다. 이 학교의 교사였던 '빌 두걸'은 원래 2차 세계대전 당시 해군 조종사였으나 고등학교 수학 및 과학 선생님이 되었다. 6. 빌 게이츠의 동창이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공동 설립자인 폴 앨런은 그 시절을 이렇게 회상한다. “빌 두걸 선생님께서는 세상 경험 없이 책으로 공부하는 것은 충분치 않다고 (늘) 생각하셨어요. 또한, 선생님께서는 우리가 대학에 가려면 컴퓨터를 알아야 한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어요" 7. 그렇게 (우연히) 빌 게이츠는 근처에 있는 대부분의 대학원조차 가지고 있지 않았던 첨단 컴퓨터를 중학교 2학년 때 사용했고, 빌 게이츠는 이 컴퓨터에 흠뻑 빠져들었다. 8. 특히 빌 게이츠는 13세였던 1968년에 학교에서 폴 앨런을 만났다. 폴 앨런 역시 학교 컴퓨터에 매료되어 있었고, 둘은 죽이 잘 맞았다. (게다가) 레이크사이드 중고등학교에서 컴퓨터는 일반 교과과정이 아니었고, 독립적인 스터디 프로그램이었다. (그렇기에 더더욱) 빌 게이츠와 폴 앨런은 여기 시간에 컴퓨터를 마음껏 가지고 놀며 창의력을 폭발시켰다. 두 사람은 (당시 그 어떤 어른들보다) 금세 컴퓨터 전문가가 됐다. 9. 간단히 계산을 해보자. UN에 따르면, 1968년 당시 전 세계에는 대략 3억 300만 명의 중고등학생 연령의 인구가 있었다. 그중 미국에 살던 사람은 1800만 명이었고, 여기에서 위싱턴주에 살던 사람은 27만 명이다. 또한 이 중에서 시애틀 인근에 살던 사람은 10만 명이 조금 넘고, 레이크사이드 중고등학교에 다니던 사람은 겨우 300명 정도였다. 10. 3억 300만 명으로 시작해 300명으로 끝난다. 당시 중고등학교 연령 인구 100만 명 중 한 명만이 컴퓨터를 살 만한 현금과 선견지명을 갖춘 고등학교에 다닌 셈이다. 그리고 우연히도 빌 게이츠는 그 300명 중 한 명이었다. 11. 이게 무슨 의미인지에 대해서 빌 게이츠도 (전혀) 숨길 생각이 없었다. 그는 2005년 이 학교 졸업생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만약 레이크사이드 중고등학교가 없었다면 마이크로소프트도 없을 것”이라고. 12. (물론) 빌 게이츠는 충격적일 만큼 똑똑하고 그보다 더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었고, 10대 때 이미 노련한 컴퓨터 회사의 경영진들조차 이해하지 못한 컴퓨터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동시에 그는 레이크사이드 중고등학교를 다녔기 때문에, 100만 명 중 한 명밖에 누리지 못하는 유리한 출발점에 서 있었기도 했다. - 모건 하우절, <돈의 심리학> 중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8월 15일 오후 11:5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나와 맞는 일

    자신이 무엇을 잘하는지 모르겠다는 사람들이 있다. 특히 커리어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들 중에서 종종 만나게 된다.

    ... 더 보기

    조회 663


    예전부터 생각해왔던 것이지만, 회사에서 내가 무언가를 이뤘다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가소로운 생각이었나 싶다. 팀과 조직이 클 수록 그렇다. 나의 결과는 결국 내가 있는, 나를 둘러싼 환경이 결정하는 것이라서, 잘했다고 설레발도, 못했다고 좌절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뒤늗게 깨달았다.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590


    당근의 엔지니어가 긴밀하게 협업하는 방법

    ... 더 보기

    당근의 엔지니어가 긴밀하게 협업하는 방법

    bit.ly

    당근의 엔지니어가 긴밀하게 협업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