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류현진의 경기를 보면 이기던 지던 깔끔하다. 경기에서 패하더라도 반성점을 되돌아보고 다음 경기에 더 강해져서 돌아오는 모습을 보면 진정한 프로란 생각이 든다. 일희일비 하지 않고 본인이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한다. 류현진이 들려주는 얘기는 소감이던 인터뷰이던 담담하고 그래서 늘 기분좋다. 정확한 데이터와 정성적 분석이 합해졌을때 경쟁력은 배가 될 것이다. 스스로 원인과 결과를 생각해보면서 전략을 구상하고 그것을 발표하고 책임감을 갖는 의식. 야구 뿐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도 적용해볼 수 있을것 같다.

[김인식의 클래식] 류현진에게 게임 플랜 듣고 충격··· 우리도 직접 해보자

m.sports.naver.com

[김인식의 클래식] 류현진에게 게임 플랜 듣고 충격··· 우리도 직접 해보자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2월 12일 오후 1:5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데이터 이력서 템플릿 + 작성 가이드를 사용해보세요.

    ... 더 보기

    브랜드 경영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경영자는 이 질문에 “브랜드를 운영하는 것”이라고 답한다. 이 답변에 재차 확인을 구하는 질문을 하면 멋쩍은 웃음과 함께 “브랜드를 ‘잘’ 운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 더 보기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The Unitas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조회 205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473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


    ... 더 보기

    제미나이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