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입장료를 받는데, 금싸라기 땅 청담동(영동대로)이라는 입지에 걸맞게 절대 싸지 않다. 하루 입장료가 종일권(평일 오전 11시~오후 11시, 주말 오전 9시 30분~오후 6시 30분)은 5만원, 반일권이 3만원이나 한다(회비 66만원인 연간회원은 반값 할인). 도서관은 지하, 1층에는 와인바도 있다. 영화 ‘기생충’의 박 사장 부류가 호주머니 불안감 없이 읽고 마시고 듣고 볼 수 있는 그야말로 ‘고급진’ 공간이다." 1. 소전서림은 서울 청담동에 생긴 문학 도서관입니다. 건축가 최욱, 다비데 마쿨로 같은 이름. 암스테르담에서 공수한 특수 벽돌로 마감한 외벽. 비싼 이용료에 대한 말들이 이미 많이 오고 가는 줄 압니다. 기사가 의도하고 있는 방향이기도 합니다. 공간을 소개하면서 계층을 가르고 흔히 나올 법한 비난의 물꼬를 트여주는 식이죠. 2. 시간이야말로 계층을 가르는 기준이 되는 시대의 독서란 얼마나 배타적인가요. 책은 이미 고급 문화가 되었습니다. 누구나 살 수 있는 가격이지만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문화는 아니죠. '읽는다'는 행위는 만만치 않은 각오와 적극성, 독서 외에 다른 것은 같이 할 수 없는 배타적인 시간을 같이 요구합니다. 3. 하지만 이렇게 흉흉하고 엄격한 시대에도 책의 본질이란 또한 관대하지 않은가요. 독서의 장벽은 예나 지금이나 높았지만,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그 아찔하고 호화로운 독서의 세계에 당장 빠질 수 있지 않은가요. 소전서림처럼 럭셔리한 공간에서도, 어딘가의 벤치에서도, 버스나 지하철에서도 여전히 읽는 사람은 있으니까요. 4. 비싼 공간은 비싼 그대로의 역할이 있겠죠. 책의 본성은 장소를 가리지 않으니, 그저 책을 즐길 수 있는 무드가 점점 다양해지는 것은 좋은 흐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소전서림은 책과 독서를 둘러싼 이 시대의 욕망을, 그 복잡한 층위를 나름의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습니다. 5. 더 다양한 공간들을 상상하고 기대하면서, 익숙한 거실 소파에 앉아 읽던 책을 다시 집어 드는 새벽입니다.

청담동 럭셔리 도서관 '소전서림'...책 파묻혀 강연 듣고 와인 한잔

Naver

청담동 럭셔리 도서관 '소전서림'...책 파묻혀 강연 듣고 와인 한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2월 24일 오후 5:0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간만에 개발 떡밥이(신난다) 이번엔 제가 소수 입장에 있는 ORM이군요. 후후..


    저는 몇몇 사건을 통해 ORM 반대주의자가 된 사람인데요.


    ... 더 보기

    이력서에 쓰는 경험

    

    ... 더 보기

    DB 프로시저 싫어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Lambda/Serverless Function 이라고 생각해보십시오! 사실상 Serverless Function이랑 똑같은 것. Serverless Function도 싫어하시면 린정.

    조회 2,301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