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작가'라는 경계도 옅어지고 있습니다> 1. 소설 작가, 웹툰 작가, 영화 감독 등 드라마에 뛰어드는 직군들이 다양해지고 있다. 2. 방영 중인 JTBC 금토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는 원작 웹툰의 조광진 작가가 직접 집필에 참여했고, tvN 월화드라마 ‘방법’은 영화 ‘부산행’으로 잘 알려진 연상호 감독이 직접 대본을 맡았다. 3. 로맨스에 집중돼 있던 드라마 시장이 다양하게 장르를 넓혀가며 큰 변화가 있었던 만큼 드라마에 직접 뛰어드는 다양한 직업군이 생겨난 것. 4.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과거 드라마 작가 하면 규정되는 작가군이 있었는데 지금은 드라마 업계로 뛰어드는 작가군이 다양해지고 있다. ‘드라마’라는 장르가 굉장히 뜨거운 콘텐츠로 떠올랐다. 예전엔 영화만이 비평의 대상이 될 정도로 드라마는 상대적인 폄하가 없던 건 아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달라졌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도 영화와 차이가 없는 퀄리티를 보여준다. 영화계 사람들도 가능성을 보고 드라마로 들어오고 있다”고 전했다.

영화 감독·웹툰 작가는 왜 드라마에 뛰어들었을까

종합일간지 : 신문/웹/모바일 등 멀티 채널로 국내외 실시간 뉴스와 수준 높은 정보를 제공

영화 감독·웹툰 작가는 왜 드라마에 뛰어들었을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2월 26일 오후 2:0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


    ... 더 보기

    < 매일 아침 헬스장 가기 싫은 당신에게 >

    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 더 보기

    단순 비교 말고 영감 얻는 벤치마킹 하려면

    "

    ... 더 보기

    카피 아닌 벤치마킹. 뭐가 다를까?

    Brunch Story

    카피 아닌 벤치마킹. 뭐가 다를까?

    요즘 '바이브 코딩'이라는 단어 자체가 유행이긴 하구나 싶습니다. 워낙 가타부타 말이 많아서요. 그래서 '근본'의 말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의 창시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역시 단순히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라는 큰 그림에서 바이브 코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할지 보고 있었어요.

    ... 더 보기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