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콘텐츠의 경쟁력: 크게 3개의 조건. 1. 내수 시장의 높은 경쟁률 2. 깐깐한 소비자 3. 글로벌 가성비 + 4. 이런 경쟁력은 언제까지 지속될까? ___________________ 1. 내수 시장의 높은 경쟁률 - 작은 시장에서 최대의 효율을 만들기 위해 한국 콘텐츠 기업들은 빠른 수직계열화로 몸집을 불려옴 - 비좁은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치열한 생존 경쟁 - 메이저 영화나 드라마가 블록버스터를 지향하면서도 장르적 관습과 예술적 감수성을 동시에 욕망하면서 기이한 대중성이 발생. 2. 깐깐한 소비자 - 인터넷과 커뮤니티의 발달: 문화 콘텐츠에 관여도가 매우 높은 소비자+잠재적 생산자 - 단기간에 지식을 습득하고 점수로 성과를 측정하는 한국 교육의 결과: 콘텍스트의 해석과 정보 위주의 소비 3. 글로벌 가성비=제작비 경쟁력 - <오징어 게임> 회당 제작비 약 25억원, 8부작의 총제작비는 약 200억원. <킹덤>의 회당 제작비도 15~20억원 수준. - <왕좌의 게임>은 회당 제작비가 71억~83억 원, <기묘한 이야기>는 회당 71억~110억 원, <만달로리안>은 회당 179억 원 정도이고, 마블의 TV 시리즈는 회당 299억원. - <오징어게임>은 이에 비하면 1/3 수준. -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도 최소한 1000억 원 수준의 제작비를 가지고, 그 이하는 보통 저예산 영화로 분류. - 한국의 블록버스터는 할리우드에 비해 1/10 수준인 100억 원 규모로. <기생충>은 150억 원, <설국열차>의 제작비는 430억 원. - 아이돌 연습생부터 데뷔까지의 기간은 1~3년, 데뷔 후 3집 발매까지의 기간은 5년 정도를 생각할 때 투입되는 비용은 대략 10~20억 원 수준. - 작곡비는 대략 곡 당 3~5천 만원, 뮤직비디오는 1~2억, 마케팅 비용도 1~2억 이상 투입. - 미국의 경우, 히트곡의 작곡가와 프로듀서는 곡 당 1억 원. 래퍼들의 피처링도 버스(verse) 당 8천~5억 원 수준 - 저성장 시대에 팬덤은 불안정한 콘텐츠 비즈니스에 예측 가능한 안정성을 제공 4. 이런 경쟁력은 언제까지 지속될까? - 사람이 미래다 - 투자 비용을 단지 인건비의 상승 정도로 이해할지, 아니면 크리에이티브 역량에 대한 고정 비용으로 이해할 지에 따라 한국 콘텐츠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이라는 미션의 방향도 달라질 수 있음.

⚡한국 콘텐츠의 경쟁력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앤디의 마음챙김 레터

⚡한국 콘텐츠의 경쟁력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13일 오전 3:0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B2B 산업과 시장에서 B2B 고객에 맞는 접근법이 별도로 필요하다

    사업아이템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스타트업과 대기업 신사업/신제품 부서 대상 교육과 컨설팅을 하면서 B2C도 중요하지만 더 큰 산업이자 시장인 B2B에서 사업 성장 가능성을 찾아야만 한다고 누누히 이야기해왔다. 코로나 사태가 지나고 AI와 딥테크가 주요 키워드가 된 이후 이제는 더이상 B2B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

    ... 더 보기

    9년째 스타트업과 로컬 비즈니스를 육성하는 동시에 직접 투자도 병행하고 있는 입장에서 시드나 프리A, 시리즈A 단계 투자 대상으로 요즘 계속 지켜보고 있는 분야나 주제가 몇 있다. 작년과 올해초 이 바닥 투자 이야기하면서 이미 언급해오긴 했는데 아직 변동 없다.


    수직형 AI 기술과 서비스은 몇년째 꾸준히 살피고 직접 투자도 진행했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주요국 경제상황이 안좋다는 점에서 먹고 사는 문제, 의식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만한 아이템을 선별해서 분석하고 투자도 집행했다. 같은 이유로 소비를 최소화

    ... 더 보기

    포트폴리오는 장기자랑이다

    

    ... 더 보기

    길은 잃은 이력서

    

    ... 더 보기

     • 

    저장 6 • 조회 734


    권한 위임

    

    ... 더 보기

    미들캡 딜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준오헤어의 초기 매각가는 5000억원대로 거론됐다가 현재 8000억원대로 치솟았다. 블랙스톤 KKR 칼라일 등 글로벌 대형 PEF들이 관심을 보이면서 몸값이 올랐다는 게 업계의 후문이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PEF들이 과거에는 조 단위 이상 대형 딜에만 집중했지만 최근에는 투자집행이 중요한 만큼 1조원 안팎의 거래라도 성장성이나 시너지가 있다고 판단되면 적극적으로 들여다보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 더 보기

    글로벌 PEF의 미들캡 공습…설 자리 좁아지는 토종 PEF

    n.news.naver.com

    글로벌 PEF의 미들캡 공습…설 자리 좁아지는 토종 PEF

    조회 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