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당신이 문서 작성을 어려워하는 이유 🔍 Typed Inside ‘기록’이라는 행위는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후로 지금까지 이어온 전통적이고 고전적인 지식 관리 활동입니다. 가장 보편적인 기록의 방식은 ‘글쓰기’이며, 간단한 메모부터 문서작성까지 우리는 일상에서 수많은 기록을 행합니다. 그 중에서도 ‘문서’라는 형태를 갖춘 글은 보다 더 공적인 파워를 갖게 되며 우리에게 많은 효용을 가져다 줍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문서를 작성하는 걸 어려워하는 걸까요? 필자가 정의내린 나름대로의 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 1. 자신의 기억력을 과신하지 말자. - 사람의 머리로 기억하고 있는 지식은 언젠가 휘발되기 쉬움 - 좋은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그 아이디어를 기록하는 일 - 기록하는 습관을 키울 수 있고 기록 활동을 도와줄 수 있는 적절한 도구를 찾는 일도 중요 ✅ 2. 글쓰기도 시스템이 필요하다. - 기록을 꾸준히 하는 것만으로는 문서 작성에 대한 어려움을 100% 해소할 수 없음 - 글을 쓰기 전 단계인 리서치와, 리서치한 자료를 관리하는 단계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문서와 자료의 관계성 정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 무조건 많은 양의 정보는 경쟁력을 가질 수 없음. 경쟁력 있는 글은, 정보 간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고 활용하는지가 중요함

[From TT] #00 - 당신이 문서 작성을 어려워하는 이유

Typed 블로그

[From TT] #00 - 당신이 문서 작성을 어려워하는 이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21일 오전 9:3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

    [오프라인 강의] 취업 전략

    회사에서 진행하는 무료 강연 계획이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 초대하고 싶습니다.

    ... 더 보기

    조회 708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