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 콘텐츠 생태계 지키고 신진 작가 더 챙긴다] "한국 웹툰이 글로벌 산업으로 성장하는 데는 '작가-CP-플랫폼'으로 이어지는 유기적인 산업 구조가 한몫 했다. 콘텐츠 제공사(Contents Provider, CP)가 작가를 발굴해 콘텐츠를 제작하면, 플랫폼이 또 한번 작품을 다듬고 홍보와 번역에 돈을 쏟아 부어 콘텐츠를 유통한다. 이 선순환 고리가 있어 지금의 'K웹툰'이 가능했던 거라 생각한다." "한편 '작가-CP-플랫폼' 3자 분업 시스템은 CP-작가 간 '깜깜이' 정산과 불공정 계약 문제 있다. 무료 캐시 역시 흥행작 위주로 수익이 몰릴 수밖에 없다. 카카오엔터가 지난 20일 캐시 5% 정산분을 보전, 선투자 작품에 60% 수익을 무조건 보장하겠다는 골자의 개선안을 내놓은 이유다." 콘텐츠 업계가 폭발적으로 성장한 것은 몇 년 안되었지만 웹툰은 출판만화라는 방식으로 웹소설은 단행본이라는 형태로 옛날부터 생산되고 서비스 되고 있었다. 그 시스템이 아직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이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이제 시장이 커진 만큼 선진 시스템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카카오엔터, 콘텐츠 생태계 지키고 신진 작가 더 챙긴다

다음뉴스

카카오엔터, 콘텐츠 생태계 지키고 신진 작가 더 챙긴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27일 오전 5:0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

    [오프라인 강의] 취업 전략

    회사에서 진행하는 무료 강연 계획이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 초대하고 싶습니다.

    ... 더 보기

    조회 711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