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명률이 낮은지 높은지와 별개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급격하게 전파되었을 때 밀려드는 환자로 인한 의료자원의 과부하입니다. 예를 들어 갑자기 병원에 손목이 다친 사람 수백만명이 몰려왔다고 하면 질병의 위중도와 관계없이 의료시스템은 제대로 작동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방역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질병의 전파를 늦춰서 이 의료자원의 수요를 최대한 flat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하지만 최악의 경우 한 국가가 감당할 수 있는 숫자 이상으로 환자가 발생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보통은 먼저 온 사람에게 병상이 배정되지만 이 칼럼에서는 이런 규칙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런 상황에서 의료진은 누구를 먼저 치료할 것인가, 윤리적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공리주의적인 입장에서 우선순위를 두고 살려야 할 사람들은 아마도 경찰, 의료진, 수도와 전기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 등등 더 많은 사람들을 살리는데 도움이 되는 직종이 될지도 모른다고 이야기합니다.

Opinion | How the Coronavirus May Force Doctors to Decide Who Can Live and Who Dies

Nytimes

Opinion | How the Coronavirus May Force Doctors to Decide Who Can Live and Who Die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3월 15일 오후 10:1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LLM으로 매우 복잡하고 복합적인 작업이 들어가는 실서비스를 꽤 오랜 기간 해 온 입장에서, 요즘 말하는 콘텍스트 엔지니어링도 사실 매우 옛말이고, 현재 LLM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은 뭐랄까.. 명칭을 붙이자면 플로우 엔지니어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4 • 조회 3,224


    <'책 한 권에 딱 한 줄만 가지겠다'라는 마음으로 책을 읽는다>

    1. 적지 않은 사람들이 하는 말이 있는데 바로 '책을 읽긴 했는데 아무 생각도 떠오르지 않는다'라는 것이다. 목적 없이 책을 읽은 탓이다. 나 같은 경우에는 딱 한 줄만 가지겠다는 마음으로 읽는다.

    ... 더 보기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

    DDD와 AI

    ... 더 보기

    '존재 과시형' 가짜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방안

    앞서 설명한 가짜 프로젝트의 유형별로 특징, 대표사례, 피해야 할 상황, 대응전략을 설명하겠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