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주도 시대에 적합하지 않은 나쁜 프로덕트 팀의 특징> 📌고객의 문제 해결 -간접 피드백에 의존하고 MRD(Market requirements document)와 같은 오래된 방법을 통해 요구 사항을 수집하면서 고객 대신 "사업"에 집중 - ~카더라 통신 중 제일 좋아 보이는 것을 기반으로 의사 결정을 내리기 - PM은 더 많은 대시보드를 요구하겠지만 지표가 왜 그렇게 바뀌었는지 설명해야 할 때마다 "이건 다음 회의때 얘기합시다."라고 말한다(그리곤 절대 다시 얘기하지 않죠.) 📌테스팅과 개선 작업 - 고위 관리자들의 변덕에 매우 민감한 문화, 밥그릇 싸움의 반복 📌성공과 실패의 측정 - 엄격한 릴리스 일정을 따르며 철저히 문서화된 사용자 스토리로 업무의 중요도를 본다. - PM 및 디자이너는 "개발자를 놀리면 안된다."고 생각함. - 모든 측정 항목을 KPI로 정의 하므로 아무 것도 중요하지 않게 만듦.

어떻게 하면 좋은 프로덕트 팀, 그로스 팀을 만들 수 있을까요?

Ab180

어떻게 하면 좋은 프로덕트 팀, 그로스 팀을 만들 수 있을까요?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31일 오후 1:5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

    [오프라인 강의] 취업 전략

    회사에서 진행하는 무료 강연 계획이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 초대하고 싶습니다.

    ... 더 보기

    조회 711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