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우드의 현실적 접근과 오픈소스 SW > ‘실패하지 않는 멀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축 전략’ 클라우드 웨비나 첫날은 송상효 오픈플랫폼개발자커뮤니티 이사장의 ‘클라우드의 현실적 접근과 오픈소스 SW’ 키노트 발표로 시작했다. 송 이사장은 먼저 ‘기술적인 관점에서 클라우드’를 설명했다. 송 이사장에 따르면, 클라우드 핵심 기술은 ▲가상화 ▲클라우드 관리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 3가지로 구성된다. 이 중 핵심 기술은 가상화며, 일부에서는 가상화 기술이 클라우드 기술의 전부인 것처럼 말하기도 한다. 클라우드 관리 기술은 가상화 기술 기반의 클라우드 핵심 기술로 구축돼 있는 인프라 환경을 관리하는 기술이다. 클라우드 관리 기술이 포함돼야 실질적으로 클라우드 구축과 운영이 가능하다. 클라우드 관리 기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많은 사람들이 클라우드 인프라를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멀티 테넌시(Multi Tenancy) 기술이다. 최근 클라우드 환경은 컨테이너 기반의 클라우드를 운영하고 확장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환경에서 오픈소스 SW 기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컨테이너, 쿠버네티스 등이 모두 오픈소스로 만들어져 활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클라우드 기술은 곧 오픈소스 기술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사용자 관점에서의 SW도 변화하고 있다. 이전에는 SW를 구매 후 설치해 사용했다. SW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소유하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SW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형태로 SW 사용방법이 바뀌고 있다. 클라우드 역시 대부분 필요한 만큼 SW를 쓰는 형태다.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은 클라우드 전환과는 다르다.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은 신기술과 관련이 있다. 기업들은 필요한 서비스를 클라우드 상에서 선택해 활용하고 있다. 주로 최신 기술 적용을 위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향이 많다. 클라우드 전환 역시 오픈소스 기반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한 API 등의 연결기술도 오픈소스로 구성되고 있다. 클라우드가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이유는 ▲IT 자원의 효율화 ▲서비스 사업(DX)으로 전환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기업들은 기존 시스템 구축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를 잘 활용하기 위해 ▲클라우드에 대한 구축과 서비스 활용에 지식 확보 ▲ 클라우드 관리 기술 도입 ▲컨테이너, 쿠버네티스 등을 활용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구축 ▲클라우드 인프라나 서비스 운영 조직 구축 ▲오픈소스 개발 인력 및 기술 확보 등이 필요하다.

[2021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웨비나 ①] 클라우드의 현실적 접근과 오픈소스 SW

아이티데일리

[2021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웨비나 ①] 클라우드의 현실적 접근과 오픈소스 SW

2021년 11월 2일 오전 12:5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