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 OTT 유저들은 둘 다 구독한다. 디즈니의 콘텐츠 내는 주기는 넷플릭스보다 길다. 이미 생산시스템이 있는 넷플릭스와 달리 디즈니는 이제 구축. 디즈니의 강점은 기존 VOD들인데, 이 VOD들은 이미 사람들이 다 본 콘텐츠에 가까움. 초기는 넷플릭스가 데미지 받을 게 없다고 보이고, 장기적으로 오리지널 콘텐츠 주기가 얼마나 짧아지냐가 영향을 줄듯. 국내 OTT야 뭐.... 답이 없다. 그나마 남은 한 수는 기존 오리지널 예능 및 드라마 스핀오프인데, 이미 디즈니와 넷플릭스가 선점한듯 (런닝맨 스핀오프 등)

디즈니+ 출격...넷플릭스 "애써 미소" 토종 OTT "생존 절실"

Naver

디즈니+ 출격...넷플릭스 "애써 미소" 토종 OTT "생존 절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12일 오전 1:3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오프라인 강의] 취업 전략

    회사에서 진행하는 무료 강연 계획이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 초대하고 싶습니다.

    ... 더 보기

    조회 654


    최근 어떤 기업의 창업자가 고향 주민들과 지인들에게 최대 1억 원씩 총 1,400억 원을 나누어 주었다는 언론 보도가 화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눔’의 사례로 창업자가 도움받았던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감사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 더 보기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한국일보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포트폴리오) 내용, 이 순서로 정리하세요!

    데이터 분석가로 취업 및 이직을 준비하시는 분들과 많은 커피챗, 포트폴리오 리뷰를 진행하면서 많이 받은 질문이 있었습니다. Q. 포트폴리오에 넣는 프로젝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나요? 🧐 포트폴리오 속 프로젝트를 어떻게 정리해야 실력 있는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역량을 드러낼 수 있을까요?! 데이터 분석가는 ‘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사람입니다.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어야 하고, 비즈니스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지요. 이러한 핵심 역할을 다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가는 ‘문제정의 및 핵심 질문 만들기 → 데이터 탐색 및 데이터 추출, 가공 → 데이터 분석 → 결과 내용 정리 및 공유(성과지표 확인) → 액션(가설 확인) 및 피드백을 반영’의 순서로 업무를 진행하게 됩니다. 즉, 포트폴리오 속의 프로젝트도 이런 흐름에 맞추어 정리한다면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사고방식과 역량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1️⃣  문제정의 및 핵심 질문 만들기 - 어떤 문제상황을 인식했는지 이야기합니다. - 그 문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어떤 핵심 질문을 만들었고, 어떤 가... 더 보기

     • 

    댓글 4 • 저장 56 • 조회 4,171


    데이터 분석가 채용공고 40개 분석한 데이터 공유합니다

    ... 더 보기

    데이터 분석가 되려면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요?

    datarian.io

    데이터 분석가 되려면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요?

    Dependabot을 통한 안전한 의존성 관리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