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스의 타다 인수 : Buy와 Build 중 어떤 전략을 선택할 것인가 > 토스가 타다를 인수한 진짜 이유에 대한 아티클. 솔직히 저는 처음에 토스가 왜 모빌리티에? 하는 의문이 컸는데요. 어느정도 기업이 커가면서 기존 사업을 확장하는데에 시간을 아끼고, 인재와 시장점유율을 바로 획득할 수 있는 '인수'도 좋은 전략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LG U+의 PG사업부를 인수해 토스페이먼츠를 설립한 2020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기류가 바뀌었다. 토스증권이나 토스뱅크처럼 회사를 새로 설립해(build) 바닥부터 다져 나가는 방법도 있지만, 진출하려는 영역에서 이미 자리잡고 있는 기업을 인수함으로써(buy) 성장에 필요한 시간을 아끼는 쪽이 나을 때도 있기 때문이다. 토스가 사용자에게 더 좋은 서비스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영역에 먼저 진출하는 것이 맞는지, 그 경우 Buy 와 Build 중 어느 쪽이 효율적인지 판단하고 결정하며, 실행에 옮긴다. ----------

토스가 타다를 인수한 진짜 이유를 전격 공개합니다.

MLB를 살리러 온 구원자, 이정후와 오타니 - 금융이 알고 싶을 때, 토스피드

토스가 타다를 인수한 진짜 이유를 전격 공개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17일 오전 9:32

조회 34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진보는 조용히 오고, 파괴는 시끄럽게 온다 >

    1. 문제는 고쳐지고 사람들은 적응한다. 위협이 크면 해결책이 나올 동인도 똑같이 커진다.

    ... 더 보기

    《섬세한 사람》

    ... 더 보기

    [🇺🇸미국과 캐나다 근무 환경 차이점?🇨🇦]

    미국과 캐나다 대기업의 근무 환경에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는 걸 느꼈습니다. ✨첫 번째: 업무 스트레스 캐나다에서 개발자로 일했었을 때 업무 스트레스가 훨씬 적었습니다. 그 이유는 캐나다 정서 특성상 "laid back", 즉 좀 여유로움이 묻어 있어서 그런지 모두가 5시만 되면 칼퇴근했었습니다. 미국은 영주권 절차가 최소 2년 최대 10년 이상 걸립니다. 결혼 영주권은 빠르다고 생각하나, 요즘 결혼 영주권도 최소 2년 걸립니다. 반면에 캐나다의 경우 6개월 만에 영주권 수령했었습니다. 영주권이 주는 건 "freedom". 언제든 맡은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거나 높은 연봉을 받으려고 다른 회사로 이직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음이 편했습니다. ✨두 번째: 연차, 공휴일 차이점 미국과 캐나다를 비교했을 때 캐나다는 매 달 공휴일이 최소 하루 정도 있었습니다. 회사마다 또는 주마다 천차만별이나, 미국은 최소 6일 정도 있는 반면 캐나다는 적어도 1년에 12일 정도 있었었습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주말이 3일인 주가 있었기 때문에 여행을 자주 다닐 수 있었습니다. ✨세 번째: 팀 다양성 미국의 경우 취업 비자와 영주권 ... 더 보기

    < 당신에게 필요한 건, 딱 100미터 앞의 시야면 충분해요 >

    1. 야간 주행을 생각해보라. 헤드라이트는 고작 50~100미터 앞밖에 비추지 못하지만 당신은 그 차를 몰고 캘리포니아에서 뉴욕까지라도 갈 수 있다.

    ... 더 보기

    사랑하는 마음

    예전에 직장에서 많이 쓰던 말 중에 '애사심'이라는 것이 있다. 말 그대로 '회사를 사랑하는 마음'이다. 이제는 이 말이 쓰이는 경우를 보는 것이 쉽지 않지만, 여전히 애사심을 요구하는 리더를 간혹 보게 된다. 조직에 대해 애착을 가질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 더 보기

    조회 446


    9년째 스타트업과 로컬 비즈니스를 육성하는 동시에 직접 투자도 병행하고 있는 입장에서 시드나 프리A, 시리즈A 단계 투자 대상으로 요즘 계속 지켜보고 있는 분야나 주제가 몇 있다. 작년과 올해초 이 바닥 투자 이야기하면서 이미 언급해오긴 했는데 아직 변동 없다.


    수직형 AI 기술과 서비스은 몇년째 꾸준히 살피고 직접 투자도 진행했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주요국 경제상황이 안좋다는 점에서 먹고 사는 문제, 의식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만한 아이템을 선별해서 분석하고 투자도 집행했다. 같은 이유로 소비를 최소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