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좋아하는 토스의 블로그 아티클을 공유합니다. 일상에서 자주 마주치는 거시경제 용어들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번편은 이자율입니다. "이자율의 정의부터 알아보죠. 거시경제학에는 이자율을 정의하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요. 그중 가장 쉬운 개념은 ‘돈을 빌려주면서 받는 대가와 돈을 빌리면서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이자율로 정의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을이라는 사람이 갑이라는 사람에게 100만 원을 빌리는 상황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갑의 입장에서 보면, 을에게 100만 원을 빌려주는 대신 그 돈으로 할 수 있는 소비나 투자 등 다른 일을 포기함을 의미해요. 따라서 포기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대가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돈을 빌리는 을의 입장에서 보면, 빌린 100만 원으로 무언가를 해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음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투자가 있겠죠. 다만 100만 원만큼의 기회를 얻는 대신 ‘적절한’ 수준의 비용을 갑에게 지불해야 하고요. 이렇게 을이 생각하는 적절한 비용과 갑이 생각하는 적절한 보상이 서로 맞아떨어지는 지점에서 이자율 수준이 결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매일 뉴스에서 보던 그 단어: 이자율이 뭐지?

MLB를 살리러 온 구원자, 이정후와 오타니 - 금융이 알고 싶을 때, 토스피드

매일 뉴스에서 보던 그 단어: 이자율이 뭐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30일 오후 2:34

조회 11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당신에게 필요한 건, 딱 100미터 앞의 시야면 충분해요 >

    1. 야간 주행을 생각해보라. 헤드라이트는 고작 50~100미터 앞밖에 비추지 못하지만 당신은 그 차를 몰고 캘리포니아에서 뉴욕까지라도 갈 수 있다.

    ... 더 보기

    마이웨이

    

    ... 더 보기

    < 사람은 ‘의견’을 지키는 게 아니라 ‘자존심’을 지킨다 >

    1. 우리는 어떤 저항감 없이, 심각한 감정의 동요 없이 생각을 바꾸기도 한다.

    ... 더 보기

    테드(TED) 강의장에 황소가 등장했다. <생각의 공유> 저자 리오르 조레프는 청중에게 황소 무게를 예측해 보라고 제안한다. 그러자 140㎏에서 3t까지 다양한 오답이 쏟아졌다.

    ... 더 보기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나의 꿈

    

    ... 더 보기

    정부는 이런 관행이 기관의 단타 매매와 새내기주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의무 보유 확약 물량이 40%(올해는 30%)에 미치지 못하면 주관 증권사가 공모주의 1%를 6개월 동안 반드시 보유하도록 했다. 약 20% 수준이었던 의무 보유 확약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지 못하면 주관사가 공모주 인수에 따른 리스크를 안게 되는 만큼 부담이 크다.

    ... 더 보기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서울경제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