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강사를 통해 직무전문과정 개발하기》 👩‍💻 요즘 사내강사 육성체계를 수립 중인데, 생각보다 참고할만한 자료가 많이 없더라고요. 특히 내부에서 사내강사에게 지급되는 보상적인 부분은 대외적으로 공유하기가 어려운 부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사내강사 육성을 고민하고 있는 교육담당자라면 참고할만한 괜찮은 자료가 있어 공유합니다. 직무전문과정의 목적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고, 실질적으로 적용을 위한 방법도 나와있어 도움이 되네요:) 1. 직무전문가들의 지식과 기술이 교안, 교재, 매뉴얼 형태로 정리되어 조직의 지적자산이 된다. 조직 입장에서는 체계적인 지식의 전수와 유통을 위한 준비가 된다. 2. 개인 측면에서는 암묵지를 형식지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지시가 경험이 더욱 체계화되어 전문성이 더해지며, 누군가의 성장을 돕는 또 한가지 방법(강의)를 체득하게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전문성이란 것이 나누는 과정에서 본인이 더 성장하는 속성이 된다.  3. 필자가 추천하는 방법은 밀도 높은 '직무과정개발 워크숍'을 통해 빠르고 정확하게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4. 효과적, 효율적, 참여적 교육과정개발을 관통하는 원리는? 1) 먼저 문제중심 과정개발(Problem CEntered) 원리다. 과정 속에서 학습자가 겪는 현장의 경험과 고민이 충분히 다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2) 또 하나의 원리는 학습자 중심 (Learner-Centered) 원리다. 참가자들은 듣고만 있는 수동적 청중으로 만들지 않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습자가 될 수 있게 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5. 과정개발에 참여한 사내 전문성고 열정을 가진 핵심인재라면 빠르게 학습하고 제대로 적요한다. 이렇게 될 수 있도록 선발의 과정을 세심하게 기획하고 운영해야 한다.   6. 가능한 경영진의 강려한 스폰서십을 받을 수 있도록 해보자. 한 중견기업은 사내강사의 시연과 피드백 세션에 대표이사가 참여해 함께 피드백을 준다. 직무과정개발의 수준이 올라가지 않을 수가 없다.  7. 사내강사제도가 '일한다고 바쁜데 급히 불려가서 대충 아는 것 이야기하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조직에는 지적자산이 직무전문가에는 역량의 깊이가 더해지는 소중한 시간'이 되도록 만들어가자.

HR Insight

Hrinsight

HR Insight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2월 1일 오후 12:12

조회 18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가장 예쁜 사람이 아니라, 1등 할 사람에게 투표하라 >

    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 더 보기

    팀장님들, 질문 하나 드려보겠습니다! 오늘은 몇 개의 질문을 들으셨나요? 아마 매일 매일 한 100개 쯤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데요ㅎㅎㅎㅎ

    ... 더 보기

    팀장상담소 21편 회사는 학교가 아닌데..! 팀원들이 스스로 해답을 찾지 않고 답만 묻네요 _ 팀장교육,팀장과정, 관리자교육

    네이버 블로그 | IGM세계경영연구원 블로그

    팀장상담소 21편 회사는 학교가 아닌데..! 팀원들이 스스로 해답을 찾지 않고 답만 묻네요 _ 팀장교육,팀장과정, 관리자교육

    < 이직을 고민하는 당신이 던져야 할 단 3가지 질문 >

    1. 커리어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일단 내가 가진 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남들의 시선과 판단도 무시할 수 없다. 이직 트렌드와 경향도 살펴봐야 한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7 • 조회 987


    특히 AI·바이오·우주항공 등 기술 난도가 높은 분야에선 검증된 경력직 심사역이 희소하기 때문에, 수억원의 연봉을 제시하는 오퍼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 더 보기

    "부르는 게 값"…VC업계, '즉시 전력감' 심사역 모시기 경쟁

    www.investchosun.com

    "부르는 게 값"…VC업계, '즉시 전력감' 심사역 모시기 경쟁

    < 왜 나는 그때 그 선배의 말을 듣지 않았을까? >​

    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

    ... 더 보기

    6년간의 토이프로젝트 여정을 마무리하며 -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 회고록

    ... 더 보기

    6년간의 토이프로젝트 여정을 마무리하며 -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 회고록

    taetaetae.github.io

    6년간의 토이프로젝트 여정을 마무리하며 -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 회고록

     • 

    댓글 1 • 저장 9 • 조회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