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커머스의 미래는 라이브 커머스인가? > [AI 요약] 카카오가 라이브 커머스 기업 그립컴퍼니를 인수했다. 카카오의 그립컴퍼니 인수로 안 그래도 치열한 이머커스 기업 간 경쟁은 더욱 격화될 조짐이다. 최근 라이브 커머스에서 나타나는 경향은 쇼핑 방송의 ‘예능화’다. 이러한 라이브 커머스가 기업들의 주목을 받는 이유는 이제 초기 시장이며 향후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점 때문이다. ‘소비자의 시간’을 확보한 플랫폼은 이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비즈니스 모델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 또한 매력적이다. [주요 내용] 라이브 커머스의 특징은 단순히 물건 판매만이 목적이 아니라는 점이다. 생방송을 통해 판매자가 직접 제품을 체험해보고 즉흥적으로 소비자가 요청에 호응한다. 그 과정에서 소비자는 물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과 더불어 판매자에 대한 호감도 가지게 된다. 판매자는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댓글에 일일이 소비자 닉네임을 호명하며 반응하고 그러한 소통이 쌓여 급기야 판매자에 대한 팬덤까지 형성된다. 최근 라이브 커머스에서 나타나는 경향은 쇼핑 방송의 ‘예능화’다. 대 놓고 상품 판매를 위한 방송임을 드러내면서도 판매자가 진심을 담아 소통하는 과정에서 때로는 해당 상품 판매 목표치 달성이 판매자와 팬으로 변한 소비자의 ‘공동의 목표’가 되는 묘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그립에서 진행되는 ‘김인석의 공동구매’ 라이브다. 라이브 커머스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도 벗어났다. 수산물을 직접 수확하는 배 위, 과일을 수확하는 과수원에서 휴대폰으로 방송을 하는 판매자도 있다. 새벽 경매 시장, 동대문 의류 매장도 예외가 아니다. 즉시 시청자가 원하는 옷을 착용하며 구매 대행까지 이뤄진다. 이러한 라이브 커머스가 기업들의 주목을 받는 이유는 이제 초기 시장이며 향후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점 때문이다. ‘소비자의 시간’을 확보한 플랫폼은 이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비즈니스 모델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 또한 매력적이다. # 이커머스 업계의 치킨게임, 결판 날때까지 경쟁 중 - 신세계그룹: SSG닷컴 + 이베이 코리아 (G마켓과 옥션 포함) 인수 - 야놀자: 인터파크 인수 - 배달의민족(배민): 커머스 서비스 - B마트 / 라이브커머스 / 배민상회 / 전국별미 - 카카오: 그립컴퍼니 인수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 이커머스 강자: 1.네이버 > 2.쿠팡 > 3.신세계

이커머스의 미래는 라이브 커머스인가? - 테크42

테크42 - Tech Journalism by AI

이커머스의 미래는 라이브 커머스인가? - 테크42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2월 7일 오전 8:2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AI 시대가 열리면서, 역설적이게도 역대 최대의 인재 영입 전쟁이 벌어지

    1

    ... 더 보기

    [팩플] AI는 사람 싸움…빅테크, ‘애크하이어’로 인력 확보 경쟁

    n.news.naver.com

    [팩플] AI는 사람 싸움…빅테크, ‘애크하이어’로 인력 확보 경쟁

    포트폴리오는 장기자랑이다

    

    ... 더 보기

    원하지 않는 역할

    

    ... 더 보기

    요즘 제가 뭐하고 있는지 근황을 전합니다. 당연히 10년째 패스파인더넷 공동대표로 여전히 있습니다.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신사업이나 신제품/서비스 발굴과 개발, 오픈이노베이션과 사내벤처 육성, 교육이나 워크샵, 컨설팅을 여전히 계속 하고 있고, 스타트업과

    ... 더 보기

    내가 진심으로 창업가이자 사업가로 리스펙트하고 사업피봇팅시 직접 엔젤투자를 한 홀릭스 박태영 대표가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이 IT동아와 함께 ‘2025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서 우리 회사가 사업 분석 컨설팅을 맡았던 포플러플래닛의 전문가 컨설팅을 맡아 진행했다. 포플러플래닛 대표님께 많은 도움이 되었을거라 믿는다.

    ... 더 보기

    [스케일업] 포플러플래닛 [1] 홀릭스 “큰 시장만 좇지 말고 브랜드 강점 내세워 돌파해야”

    동아일보

    [스케일업] 포플러플래닛 [1] 홀릭스 “큰 시장만 좇지 말고 브랜드 강점 내세워 돌파해야”

    정부는 이런 관행이 기관의 단타 매매와 새내기주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의무 보유 확약 물량이 40%(올해는 30%)에 미치지 못하면 주관 증권사가 공모주의 1%를 6개월 동안 반드시 보유하도록 했다. 약 20% 수준이었던 의무 보유 확약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지 못하면 주관사가 공모주 인수에 따른 리스크를 안게 되는 만큼 부담이 크다.

    ... 더 보기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서울경제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