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metaverse), 어떤 법적 이슈가 있을까?
techNeedle 테크니들
< 메타버스 (metaverse), 어떤 법적 이슈가 있을까? > 요즘 테크 분야에서 가장 핫한 키워드 중 하나는 메타버스 (metaverse)이다. 메타버스는 ‘meta’와 ‘universe’를 합성어로 사용자들이 가상 세계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며 물건이나 부동산을 사고팔고 심지어 이름과 아바타도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어쩌면 현실에서는 이루지 못할 꿈을 가상 세계에서라도 추구하고 싶은 시대적 욕구가 결합되어 큰 붐이 일어나고 있지 않나 생각이 든다. 메타버스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법률적 이슈들 중 몇 가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가상세계에서 사용할 화폐, 그리고 NFT (Non-Fungible Token) NFT는 각 제품마다 고유한 가치가 있고 각 제품별로 부여된 희소성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경제를 이루는 핵심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메타버스 내에서 사용자들은 현실세계에서와 같이 소비·생산·투자 등 경제 활동을 하게 되는데 NFT를 메타버스 내에서의 거래에 사용할 수 있다. NFT를 이용하여 어떠한 디지털 자산을 토큰화하고 전자거래를 위한 소유권 전자인증서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NFT가 그것이 내포하는 기초 자산의 법적 소유권이나 권리 (예컨대, 저작권 등)가 반드시 NFT의 구매자에게 이전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는 있다. 그러한 소유권이나 권리의 이전은 양도 행위를 규율하는 계약, 예컨대 NFT가 거래되는 플랫폼의 사용 약관 또는 구매자와 판매자 간에 직접적으로 체결된 계약 등에 적절히 문서화될 필요가 있다.필요하다면, 판매자로부터 구매자에게 이전되는 과정 중의 오프체인 기초자산을 보관해야 하는 책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NFT는 일반 대중들에게 공개적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판매자의 플랫폼이 고도의 투명성을 갖고 영업하도록 하고 소비자가 해당 NFT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현지 언어로 제공받을 수 있는 권리 등 불공정 상행위에 대한 각 국가와 지역별 소비자보호법의 적용을 받을 수 있음을 명심하고, NFT 거래 전 반드시 전문 변호사와 상의할 것을 권한다. > 메타버스와 상표권 사용자 생성 콘텐츠 (user-generated contents)들과 포켓몬 고, 심스, 세컨드 라이프 같은 게임들이 급증하면서 가상 현실 속에서 상표의 사용에 관련된 법적인 문제들이 많이 발생했다. 사용자들은 심지어 세컨드 라이프에서 온라인 상의 사업적인 영향력을 바탕으로 현실 세계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수도 있지만 이런 기회들은 제3자 상표의 무단 사용과 잠재적 브랜드 감소에 대한 리스크를 동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바타 (실존하는 사용자들이 만든 가상 캐릭터)들이 제3자에게 상표권이 있는 제품을 사고팔 수 있기에 상표권자들은 가상 세계에서의 브랜드 사용에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 메타버스와 AI 학습 과거의 기상 정보, 산이나 구름의 모양과 같은 자연, 또는 동물의 울음소리에 대한 정보 등은 특정인이 소유하는 정보가 아니므로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니다. 그러나 메타버스에서 사용되는 동물의 울음소리는 누군가에 의해 코딩된 기계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지식재산으로 보호될 수 있다. 결국 이것은 새로운 법적 분쟁의 유형을 만들어내게 될 것이다. ‘지식재산 확산’ 시나리오에서 머신러닝 시스템 상의 거의 모든 유형의 정보를 사용하는 것은 아마도 별도로 권한이 요구되는 제한적인 시스템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상세 내용은 링크 참조 플리즈~ :-)
2021년 12월 10일 오전 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