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굴을 먹는다는 건 곧 껍데기라는 쓰레기를 배출하는 행위다. 그럼 그 많은 굴 껍데기는 다 어디로 갔을까. 어디로도 가지 않았다. 굴 알맹이만 우리 식탁에 올랐을 뿐, 껍데기는 통영 바닷가에 그대로 쌓인다." "굴 껍데기가 겨울에만 반짝 쌓이는 것은 아니다. 굴 수확철인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발생한 껍데기는 1년 내내 바닷가에 방치돼 악취와 해양오염을 일으킨다. 일부가 패화석 비료로 탈바꿈해 재활용되기도 하지만, 그 쓰임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통영의 경우 매년 굴 껍데기 15만t이 발생하는데, 비료·사료 제조에 10만t, 양식장 재활용에 1만5000t이 쓰이고 나머지는 처치 곤란이다. 통영뿐 아니라 굴 양식장이 있는 지역 어디든 ‘굴 쓰레기’ 천지다. 해양수산부 추산에 따르면 2021년 현재 전국에 쌓여 있는 굴 껍데기는 100만t에 이른다." "알고 보면 굴 껍데기는 그저 쓰레기가 아니다. 쓰임새가 많은 ‘자원’이다. 굴 껍데기가 중금속을 흡착하거나, 바다 밑바닥을 정화하는 기능이 있다는 연구가 전부터 있었다. 미국은 동부의 체서피크만(Chesapeake Bay)에 굴 껍데기 25억 개를 살포해 해양을 정화했고, 영국과 네덜란드는 수질필터제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재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 많던 굴 껍데기는 다 어디로 갔을까

시사IN

그 많던 굴 껍데기는 다 어디로 갔을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2월 13일 오전 6:34

조회 35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해외 취업을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커버레터 작성법

    ... 더 보기

    개발자를 위한 IT 영어 온보딩 가이드

    Geek Haus

    개발자를 위한 IT 영어 온보딩 가이드

    조회 26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2005년 7월에 일을 시작했으니,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중간에 공백이 조금씩 있었으니 꽉 채운 스무 해는 아니지만, 숫자가 주는 무게는 여전하다. 2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이 새삼 신기하게 느껴진다.

    ... 더 보기

    < 가장 위대한 창작은 ‘경계’에서 탄생한다 >

    1. 세상에 없던 새로운 건 모두 한 사람의 상상에서 시작된다. 그 결과인 창작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더 보기

    제미나이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 더 보기

    업스테이지에서 추론 기능을 가진 Solar Pro2 출시. 프론티어 모델에 근접한 수준으로 한국 기업 중 최고 수준.

    ... 더 보기

    조회 830


    < 혹시, 리더인 당신 혼자서만 일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

    1. 나는 관리자의 결과물이 그가 관리하는 조직의 결과물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