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후방 산업이 중요해진다 1. 그동안 콘텐츠의 전방 : 콘텐츠 제작, 작가 수급, 유료화 등 이 각광받았다면 앞으로는 무조건 후방 사업 고민이 필요하다 2. 단순히 드라마화를 칭하는 건 아니다. 드라마화를 했을 때, 드라마를 보고 원작까지 거슬러올라오는 팬들을 어떻게 모객할지. 글로벌로 나아갈 경우, 현지화는 어떻게 할지, 시즌제로 갈지 스핀오프제로 갈지 등등. 후방 사업 전문가들이 콘텐츠 및 플랫폼 업계에 더 붙을 수밖에 없다 3. IP가 예측불가의 변수라면, 후방사업은 상대적으로 예측가능 범위 안에 있다. 결국, 작가의 노력은 전자고 사업팀의 노력은 후자다. 작가가 아닌 모두가 후자의 전문가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네이버 인기 웹툰, 티빙·넷플릭스 드라마로 나온다

Naver

네이버 인기 웹툰, 티빙·넷플릭스 드라마로 나온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2월 14일 오전 4:1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ChatGPT의 Deep Researh에 GitHub을 연결 할 수 있게 되었군요!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2,606


    애니를 봐도 개발 생각뿐

    "개발은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할 때가 가장 즐거우니까"

    ... 더 보기

    세상 가장 어려운 일

    

    ... 더 보기

    조회 1,095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 돌파 및 사업 확장

    ... 더 보기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8000억원…7조원 껑충

    파이낸셜뉴스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8000억원…7조원 껑충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

    우리가 하는 ‘회사 일’은 대부분 사람으로부터 배우게 된다. 그만큼 그 일을 가르쳐 주는 이가 누구인가에 따라 나의 퍼포먼스도 일부 결정된다. 그(녀)가, 나를 키우려는 능력과 자질, 충분한 노력을 하려는 사람인지 아닌지에 따라 나의 실력은 평범해질 수도 혹은 일취월장하여 청출어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 더 보기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 

    조회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