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전문몰 중심의 플랫폼이 성공했다면 내년에는 여러 분야 제품을 종합적으로 판매하는 버티컬 커머스(Vertical Commerce) 경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뚜렷한 패자 없는 패션 e커머스 시장 내년 패권 경쟁 가속화 📌 전통 패션업체(에프앤에프, 삼성물산 패션, LF, 신세계인터내셔날, 한섬) : 옴니채널 전략, 콘텐츠 커머스(라이브커머스, 영상콘텐츠 등 다양한 마케팅 시도) - 삼성물산 패션 : 자사몰 'SSF샵' 전면 리뉴얼, 신명품 수요 선제 대응, 유튜브 채널 '세사패TV' - LF : 주력 브랜드 온라인 전용상품 출시, MZ세대 트랜드에 맞춘 온라인 전용라인, V커머스 부서 신설, 라이브방송, 디지털 콘텐츠 소통 📌 플랫폼 업체 : 유통 테크기업 자금력+노하우 덩치불리기, 명품 뷰티 등 카테고리 확장, 수익다각화 (무신사, 지그재그, W컨셉 등) - 패션플랫폼의 격전지는 명품 커머스 거래액 작년 동기대비 10배 급증(MZ세대,중장년층 온라인 명품시장 유입, 빅모델 기용 등 적극적 마케팅 영향) - 지그재그 : + 카카오 / 화장품 카테고리 시범 운영 중, 내년 리빙 카테고리 도입 예정 - 무신사 : + 29CM, 스타일쉐어 / '무신사 부티크' 오픈. 럭셔리 브랜드 제품 판매, 직매입 해외명품 새벽배송

[스페셜리포트]옴니채널 VS 플랫폼, 패션 e커머스 시장 패권 경쟁

Naver

[스페셜리포트]옴니채널 VS 플랫폼, 패션 e커머스 시장 패권 경쟁

2021년 12월 15일 오후 2:21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