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의 무례함이 최악의 조직을 만듭니다!> 1. 조지타운대 크리스틴 포래스 교수는, 능력 있고 건강한 자신의 아버지가 오랜 시간 직장 상사의 무례함에 노출되면서 병실에서 중환자로 누워 있는 모습을 보며 ‘무례함이 조직 구성원들을 얼마나 병들게 하고 업무의 질을 떨어뜨리는가’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2. 포래스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상사나 리더에게 상당 기간 지속적으로 무례한 지적과 비판을 받은 사람은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고 의욕이 떨어졌다. 3. 포래스 교수의 연구에서 나타난 또 하나의 특징은, 무례함의 피해자가 아니라 그 주변인들에게도 집중력 저하와 업무 의욕 상실이 나타난다는 점이었다. 4. 즉, 리더의 무례함이 최악의 조직을 만든다는 것이다. 특히 말도 안 되는 실수가 만연하는 가장 큰 원인은 ‘기강 해이’가 아니라, 조직 내 ‘리더들의 무례함’ 때문이었다. 5. 실제로, 높은 위치에 있는 의사가 소리를 지르는 수준의 무례함을 보이면 환자에게 엉뚱한 약을 투약한다던가 수술 중 어이없는 행동들이 나오는 등 어처구니없는 실수들이 발생했다.

[CEO 심리학] 직원들의 잦은 실수는 기강해이가 원인 아니라 리더의 무례함 때문이다

Naver

[CEO 심리학] 직원들의 잦은 실수는 기강해이가 원인 아니라 리더의 무례함 때문이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2월 24일 오전 6:43

댓글 1

  • 무례함을 모르고 계속 소리나 강압을 주는 리더가 있었어요. 정말 본인을 거울로 보여주고 싶었던 때마다 참다가 회사를 관두었지만, 수치심은 오래가더군요. 회사는 능력이 아닌 인성으로 리더를 먼저 선별해야해요. 결국 그게 문화가 되기때문에 감사합니다. 좋은 글😊

함께 읽은 게시물

예전부터 생각해왔던 것이지만, 회사에서 내가 무언가를 이뤘다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가소로운 생각이었나 싶다. 팀과 조직이 클 수록 그렇다. 나의 결과는 결국 내가 있는, 나를 둘러싼 환경이 결정하는 것이라서, 잘했다고 설레발도, 못했다고 좌절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뒤늗게 깨달았다.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631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


... 더 보기


어려움을 극복하는 힘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