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방식이 미디어를 정의하고, 크리에이터는 성실함으로 자신을 증명합니다> 1. 저는 현재의 유튜브를 기존의 미디어와 구분하는 가장 중요하고 큰 특징으로, 유튜브의 메인 피드 그리고 재생 영상 아래로 추천 콘텐츠를 배치하는 알고리즘을 꼽습니다. 2. 방송국 같은 전통적 미디어의 경우, 사용자가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정도이지만 유뷰트는 사용자가 구독하는 콘텐츠보다 ‘알아서 유튜브가 추천하는 콘텐츠'를 우선으로 하는 독자적 편성 방식 때문에 완전히 다른 미디어가 되었습니다 (=추천 방식이 미디어를 정의한다) 3. 이 말은 곧 기존 미디어를 존재하게 만드는 편성과 배급에 대한 권력이 구독자 데이터 기반의 추천 로직으로 (완전히) 넘어 갔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추천 로직을 통해 구독자의 피드에 편성되기 위해서는, 정말로 좋아서 끝까지 시청하는 행위만이 의미가 있게 된 것입니다. 4. 그렇다면 하나의 유의미한 미디어가 되어 수많은 구독자들을 거느리는 유튜버들은 어떻게 성장했을까요? 이제까지 제가 이들에게서 찾아낸 공통적 특징은 예상과 달리 ‘재미있고 자극적인 콘텐츠'가 아니라, ‘성실한 사람들'이었습니다. (=크리에이터는 성실함으로 자신을 증명한다) 5. 생각해보면 잠깐의 자극이나 재미와 다르게, 성실하고 매력이 있는 사람들을 ‘다시’ 보고 싶어 한다는 건 아주 인간적인 이야기입니다. 6. 그래서 저는 유튜브가 가져온 미디어의 변화는 역설적이게도 가장 ‘인간적'인 미디어로의 변화라고 봅니다. 7. 모든 구독자 개개인에게 각기 다르게 작동하는 인공지능 추천 로직 덕분에 가장 인간적인 미디어를 만든 셈이니 인공지능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이 있었다면 조금 생각을 다르게 해볼 일입니다. 8. (그리고) 크리에이티브한 유튜브 스타가 되어 돈을 잘 벌고 싶은 마음에, 더 좋은 장비와 멋진 편집 기술을 알아보고 있다면 잠시 그 일을 멈춰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9. 대신 아주 사소하더라도 깊이 몰입하는 ‘나다운 삶의 시간'이 (나에게) 존재하는지, 그리고 나에게 ‘성실함'이라는 태도가 부족하지는 않은지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 편집인 조수용, <매거진B - 유튜브> 중

매거진 B (월간) : No.83 YOUTUBE 국문판

YES24

매거진 B (월간) : No.83 YOUTUBE 국문판

2020년 4월 13일 오전 1:26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