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연봉 협상의 신이 되어야 하는 이유

연봉 협상은 단지 돈을 더 받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연봉을 평균 이하보다 덜 받거나, 같은 회사에 같은 일을 하는 사람보다 더 적게 받는 경우를 피하기 위해서 연봉 협상 기술은 꼭 알고 계셔야 합니다.

📣 경험담
미국 스타트업에 근무했었을 당시, 친하게 지냈던 캐나다인 친구가 있었습니다. 서로의 연봉을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그 친구의 연봉이 저 보다 대략 33% 정도 낮았었습니다. 당시 친구는 캐나다 토론토의 평균 연봉에 비해 미국 회사 측에서 제시한 연봉이 높아서 협상 없이 일자리 제의를 수락했다고 했었습니다. 하지만 친구의 연봉은 당시 실리콘 밸리의 연봉해 비하면 대략 20% 낮은 편이었습니다. 저의 경우 1차 연봉 협상을 했기 때문에 평균보다 조금 더 받을 수 있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알려드린 연봉 정보 비교 사이트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이어서 회사별 평균 연봉 정보를 알 수 없었던 친구는 같은 직급에 같은 일을 하는 저보다 더 적은 돈을 받고 있었습니다. 이런 불평등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반드시 지난번 포스팅에서 소개한 연봉 정보 사이트를 꼭 사용하셔서 연봉 협상을 해야 합니다.

📣 경험담
미국 삼성 지사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던 대학 동기가 같은 포지션에 같은 일을 하는 다른 직원이 자신보다 약 30% 더 받는다는 것을 우연히 알았습니다. 상식적으로 비슷한 일을 하는데 월급 차이가 30% 이상 나면 당연히 화가 나죠. 이미 입사한 경우 협상 루트가 조금 까다롭습니다. 인사과에 정식으로 불평해야 하고 승인 과정이 꽤 깁니다. 몇 주가 걸려서 결국 협상에 성공했지만 이미 인턴쉽 기간은 끝날 때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연봉 협상은 미리 입사 전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경험담
입사 후 매년 연봉 상승률이 적습니다. 정말 짠 회사의 경우 인플레이션 퍼센티지만큼 올려줍니다 (2%). 현재 인플레이션이 7%를 육박하지만 연봉을 7% 올려 주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승진을 할 경우 15% 이상 올려주는데 그 이외에는 5% 이하입니다. 승진은 짧게는 2년 길게는 5년 이상 걸립니다. 처음부터 적은 돈을 받고 입사하는 경우 남들만큼 받으려면 몇 년이 걸립니다. 따라서 입사 전에 평균 연봉 정보를 잘 알아보고 적은 돈을 제시받은 경우 협상을 잘해서 평균 이상 받고 입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제가 실제로 사용했던 연봉 협상 스킬을 공유합니다. 주니어 시절 연봉을 50% 올릴 수 있었던 계기는 협상을 치열하게 했었고 미국 실리콘 밸리에서 캐나다 밴쿠버로 이직했을 때도 연봉 협상을 통해 캐나다 밴쿠버 평균보다 대략 20%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 ✍️다음글 ] 💵 당신이 연봉 협상의 신이 되어야 하는 이유 2탄 - 협상 팁: https://careerly.co.kr/comments/49422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FAANG 미국 & 캐나다 IT 대기업 면접관의 팁

https://careerly.co.kr/comments/49332

미국과 캐나다 근무 환경 차이점?

https://careerly.co.kr/comments/49340

해외 개발자의 실제 연봉 데이터는?

https://careerly.co.kr/comments/49341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월 25일 오전 7:54

 • 

저장 213조회 9,06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어제 출시된 따끈따끈한 ChatGPT Codex를 실제 프로젝트 레포에 써 보았습니다.


    테스트가 있으면 스스로 테스트도 실행하고, 만든거 스스로 실행해보면서 버그도 수정하고 하는게 기특하긴 합니다.


    ... 더 보기

    🎙️NotebookLM 해설 - 진격의 AI, 개발자는 자멸할까?

    G

    ... 더 보기

    - YouTube

    youtu.be

     - YouTube

    DB 프로시저 싫어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Lambda/Serverless Function 이라고 생각해보십시오! 사실상 Serverless Function이랑 똑같은 것. Serverless Function도 싫어하시면 린정.

    조회 2,079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간만에 개발 떡밥이(신난다) 이번엔 제가 소수 입장에 있는 ORM이군요. 후후..


    저는 몇몇 사건을 통해 ORM 반대주의자가 된 사람인데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