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의 비즈니스 트렌드> 1. (앞으로) 사람들은 (낯선) 상호작용에 대한 두려움을 가질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가족 연대나 전통적인 커뮤니티가 복원될 가능성도 있다. 2. 사회적 거리두기로 바이러스의 확산세는 누그러졌지만, 예전과 같은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지는 아직 미지수인 상태. 3. 거의 모든 분야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가속화될 것이고, 고객의 수요에 맞춰 즉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디맨드 비즈니스'가 각광받을 것이다. 4. 의료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것이다. 5. 사회 전 분야에서 디지털 혁신이 일어나며 행정, 의료, 교육 시스템의 효율이 높아질 것이다. 이로 인해 긱 이코노미 형태의 새로운 일자리들이 늘어남과 동시에 집에서 보내는 시간 또한 늘어날 것이다. 6. 따라서 여가의 개념 또한 달라질 것이며,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색다른 형태의 엔터테인먼트들이 늘어날 것이다. 이를 테면 모든 스포츠의 E스포츠화라든가.

대지진에 버금가는 트렌드 변화가 오고 있다

Ttimes

대지진에 버금가는 트렌드 변화가 오고 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4월 22일 오후 10:1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애니를 봐도 개발 생각뿐

    "개발은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할 때가 가장 즐거우니까"

    ... 더 보기

    React Router v7엔 뭐가 생겼을까

    R

    ... 더 보기

    Framework Adoption from Component Routes

    reactrouter.com

    Framework Adoption from Component Routes

     • 

    저장 9 • 조회 2,269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

    [오프라인 강의] 취업 전략

    회사에서 진행하는 무료 강연 계획이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 초대하고 싶습니다.

    ... 더 보기

    조회 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