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큰 성적 매력은 '지적능력'...'사피오섹슈얼' 실재한다
국민일보
1. 지적수준은 일반적인 수준의 인간의 매력을 평가할 때 크게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그러니까 굳이 이걸 공식으로 만들면 아래와 같다. "매력=(외모^재력)*개성+지식" 재력은 외모에 멱으로 작용한다. 개성은 외모와 재력에 멀티플라이어로 작용한다. 참고로 개성은 음의 숫자가 될 수도 있다(싸이코패스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겠지). 하지만 지식은 고작해봐야 매력에 더해질 뿐이다. 아무리 숫자가 커도 거듭재곱이 될 수도 멀티플라이어가 될 수도 없다. 그냥 매력에 약간이 도움이 되는 상수로만 작용한다. 그러니 내가 지식이 많고 똑똑하다고 해봐야 다른 사람들은 전혀 신경도 안쓴다. 2. 사실 1번에서 구라좀 쳐봤다. 지식은 단순 상수로 작용하지 않는다. 실제로는 아래와 같은 공식이 된다 "매력=(외모^재력)*개성+(지식*학벌)" 여기서 학벌은 지시함수(indicator function)이다. 그러니까 0이거나 1밖에 되지 않는다. 학벌이 좋으면 1, 안좋으면 0이다.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학벌이 좋지 못한 사람이 지적수준이 높다고 판단하지 않는다. 정말이지 냉혹한 현실이다. 그래도 희망은 있다. 어차피 학벌과 지식이 좋아봐야 외모와 재력 앞에선 그저 귀여운 상수일 뿐이다. 3. 사실 2번도 구라다. 실제로는 아래와 같은 공식이 된다. "매력=(외모^재력)*개성+(지식*학벌)^(외모+재력)" 그러니까 외모와 재력이 좋을 수록 지식 상수는 거듭재곱으로 매력적인 요소가 된다. 4. 사실 3번도 구라다. 실제로는 아래와 같은 공식이 된다. (...) 164. 사실 163번도 구라다...
2020년 4월 26일 오후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