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비오, UA 비용 절감으로 수익 전년대비 74% 증가] "앵그리버드"로 유명한 핀란드 게임회사 로비오가 전년대비 껑충 뛴 수익을 기록했습니다. 사용자 유입(UA) 비용이 절반 가까이 준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1. 로비오는 올 하반기에 "앵그리" 시리즈 신작 게임을 3개 내놓을 예정입니다. 그 사이 지금은 신작 출시가 없는 소강기입니다. UA 비용이 확연히 절감된 이유는 여기에 있는 걸로 보입니다. 2. 최근 로비오의 행보를 보면..."앵그리버드" 캐릭터 프랜차이즈 사업으로 확장을 모색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새와 돼지가 등장하지 않는 게임을 서비스 중이긴 하지만 아무래도 "앵그리" 시리즈의 성공 신화에 비하면 못 미치고 있지요. 그 대신 "앵그리"는 영화도 나왔고, 이제는 TV 드라마 시리즈도 나올 예정입니다. (오호 ㅎ) 3. 코로나 19 발 경제 위기가 가시화되면서... 요즘 현지 경제 관련 (그나마) 긍정적인 소식은 게임 업계가 유일한 느낌입니다. 게임이 핀란드에서 더더욱 '효자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 같군요. 여담) 핀란드는 인구가 적은 나라라 직원 수가 100명을 넘어가는 게임 회사를 보기 어렵답니다. 여기에 캐주얼 모바일 게임에 편중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회사 규모(head count) 대비 UA 마케팅 비중이 큰 편입니다. 현지 인력에 한계가 있으니 해외 외주(주로 다른 유럽연합 국가 쪽으로)도 많이 준다고 알고 있습니다.

Rovio profits soar to $14 million as UA spending is cut by almost half

pocketgamer.biz

Rovio profits soar to $14 million as UA spending is cut by almost half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5월 6일 오전 7:3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퇴근길 작은 트럭에게 약속의 무게를 배우다 >

    1

    ... 더 보기

    간만에 재밌게 읽은 기술 포스트

    ... 더 보기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Medium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쓰기와 참기》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652


    바이브 코딩? 소버린 AI? 2025년 상반기 정리 및 하반기 AI 트렌

    1

    ... 더 보기

    바이브 코딩? 소버린 AI? 2025년 하반기 AI 트렌드 예측 : 오호츠크 리포트

    55check.com

    바이브 코딩? 소버린 AI? 2025년 하반기 AI 트렌드 예측 : 오호츠크 리포트

    < 트레바리 '오디티 빌더스' 클럽에 초대합니다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