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업이 어려운 이유는 처음으로 무언가 시도한게 전혀 이점으로 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공급자/소비자 사이드 규모의 경제는 커녕 연쇄반응(knock-on effect)이 있지도 않다. 오히려 첫 주자가 시장을 만들고 그 뒤로 따라오는 n번째 플레이어가 득을 보는 경우가 많다. 브랜드를 쌓기도 어렵고 좋은 제품 일수록 프리미엄은 커녕 원가구조만 더 안 좋아진다. 이게 결국 외식업의 진입장벽이 너무 낮아서 생기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런측면에서 10년 이상 버틴 곳은 그냥 군말없이 믿고 가도되고 30년 이상 된 곳들은 세번 절하고 먹으면 된다.

'더부스'도 몰락... 스타 외식업체 경영 '도마'

서울신문

'더부스'도 몰락... 스타 외식업체 경영 '도마'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5월 7일 오전 6:0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요즘 '바이브 코딩'이라는 단어 자체가 유행이긴 하구나 싶습니다. 워낙 가타부타 말이 많아서요. 그래서 '근본'의 말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의 창시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역시 단순히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라는 큰 그림에서 바이브 코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할지 보고 있었어요.

    ... 더 보기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 매일 아침 헬스장 가기 싫은 당신에게 >

    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 더 보기

    브랜드 경영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경영자는 이 질문에 “브랜드를 운영하는 것”이라고 답한다. 이 답변에 재차 확인을 구하는 질문을 하면 멋쩍은 웃음과 함께 “브랜드를 ‘잘’ 운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 더 보기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The Unitas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조회 182


    93억 버는 직장인

    9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441


    데이터 이력서 템플릿 + 작성 가이드를 사용해보세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