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입을 만드는데 공을 들인 진짜 이유? 월급이 매달 들어오는 것은 너무 좋은 일이죠. 하지만 매달 정해진 금액이 들어오기에 큰 성취감이나 보람이 없기도 합니다. [뉴스 요약 ✏️] 부수입 파이프라인 만들기 🚧 ① 목표 현재는 급여의 5~10% 규모로 부수입이 발생하는데, 이 비율을 100% 이상으로 만드는 것 ② 구성 부수입원을 지속 여부에 따라 "지속가능 vs. 일회성", 수익 발생에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Active vs. Passive" 2개 축으로 구분 ③ 예시 - 지속가능한 적극적 수입: 번역, 디자인 등 부업 - 지속가능한 소극적 수입: 블로그 수익, 예적금 금융수익 등 - 일회성 적극적 수입: 앱테크, 중고거래 등 - 일회성 소극적 수입: 기프티콘 판매, 이벤트 참여 등 ④ TIP - 부수입 통장을 별도로 마련하고 목표금액 설정하기 - 1년에 부수입 100만 원 모으기 등 [큐레이터의 문장 🎒] 부수입의 효용은 역설적이지만 새삼스래 느끼는 월급의 소중함입니다. 부수입으로 급여 100%를 모으는 건 쉽지 않으니까요! 부수입을 만드는 일을 통해 급여, 내가 본업으로 하는 일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 취미로 하던 블로그, 돈이 되네요? 💻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j4DkZy-p5ENyyH-IUbTrH9Iz7zGQsQ==

💰부수입 파이프라인 만드는 방법

stibee.com

💰부수입 파이프라인 만드는 방법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5월 12일 오전 7:02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