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혜연님의 프로필 사진

유혜연

.

[아마존의 사례로 보는 OKR과 지표 설정] OKR은 어려운게 맞다: OKR을 정확하게 잡기 위해서는 프로덕트를 여러가지 방식으로 살펴보아서 오브젝티브가 달성되기 위해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표를 찾아낼 수 있어야 합니다. (중략) 지표의 함정: 첫 번째 문제는 이러한 메트릭이 결과론적인 것으로 직접 통제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주문 전환율'에는 고객의 금전상황이나 취향, 상품의 설명, 할인의 유무 등 너무나 많은 영향을 받는 요소가 있는 것이죠. 두 번째 문제는 OKR의 오브젝티브는 추상적이기 때문에 실제 프로덕트에서 수치적으로 바로 설명하기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여기에서 '행동 가설'이 필요합니다. 행동 가설이 있다면, 최종 결과가 되는 메트릭을 움직일 수 있는 '원인'들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대체 지표를 세울 수 있게 되죠. 바로 input metric 또는 leaver metrics입니다. 아마존의 OKR 설정 사례: 예를 들어 아마존의 비전은 '사람들이 살 것 같은 모든 물건을 아마존에서 판매한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는데요. 여기서 '살 것 같은 물건'은 실제 매출로 이어져야 합니다. 때문에 최종적인 KPI는 주문 건수나 매출이 발생한 상품이 많아져야 한다는 것인데요. 실제로 이 조건에는 너무나 많은 변수가 있기에 컨트롤 가능한 메트릭인 '상품의 다양성', '최저가 상품의 비율'과 같은 것으로 조정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상품의 다양성'을 더 목표화 할 수 있도록 더 구체적인 목표 지표를 만드는데요. '제품 재고가 있고 '2일 배송'이 바로 가능한 상세 페이지의 조회 비율'을 최종적인 목표 지표로 만들게 된 것이죠. (중략) 진짜 OKR을 한다는 것은: 프로덕트 팀의 플래닝은 바로 이러한 방식을 추상적인 가치를 이야기하는 오브젝티브에서 고민끝내 컨트롤이 가능한 구체적인 KR을 정리하고 그 KR을 달성할 수 있는 프로젝트 리스트를 기간에 맞게 제안하는 과정입니다.

어떤 데이터를 목표로 기획을 만들어야할까요?

브런치스토리

어떤 데이터를 목표로 기획을 만들어야할까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6월 4일 오전 10:1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AI 시대에 신입/주니어가 유리할까, 시니어가 유리할까라는 질문이 계속 화두가 되고 있는데, 나는 신입/주니어가 유리할거라는 입장이다. (일단 소프트웨어 개발업 한정)


    이유는 경험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시니어는 경험에 집착해 새로운 기술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 더 보기

    < 예술은 복제를 넘어 아우라로 산다 >

    1

    ... 더 보기

    소프트웨어 개발자 마이드셋 변화


    1년차: 어리버리

    3년차: 이제 좀 알 것 같음

    ... 더 보기

    Claude Code 더 똑똑하게 사용하기

    L

    ... 더 보기

    Claude Code 를 똑똑하게 다루는 방법

    Medium

    Claude Code 를 똑똑하게 다루는 방법

    대규모 트래픽의 기준, 어려우시죠? 요건 콕 찝어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물론 개인적인 기준이긴 합니다만)


    “최적화가 잘 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현존하는 최고 사양의 하드웨어를 갖춘 단일 서버 혹은 단순한 로드밸런서만으로 받을 수 있는 한계를 넘는 트래픽”


    ... 더 보기

    할수 있는 것과 하지 말아야 하는 것들

    개발을 하다 보면 할 수 있는 일과 하지 말아야 하는 일이 나뉘는것 같아요. 대부분의 일들을 할 수 있는 일들이고, 사실 안되는 일들은 거의 없을 수도 있는거 같아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