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랙이 아마존와 파트너쉽을 맺고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에 대항합니다. 이전 코멘트에서도 공유드렸듯, 개인적으로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시총 2조달러를 가장 먼저 달성하는 기업들이 될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Coivd19 로 인해 몇 년에 걸쳐 일어날 디지털화가 몇 달만에 이루어진 만큼, 생산성이나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각각 공고한 위치를 가지고 있는 MS - 아마존이 다른 기업들와 합종연횡을 시작합니다. 아무것도 못 할 것이라 예상했던 마이크로소프트 팀즈가 예상 외의 성과를 보여주며 선방중이고, Azure 또한 사티아 나델라 CEO 의 전방위적인 지원 아래 무섭게 AWS 를 따라오고 있습니다. 이 두 기업에 더욱 희망적인 것은 아직 클라우드 시장이 성장할 여지가 충분히 많이 남아 있다는 것입니다.

Slack partners with Amazon to take on Microsoft Teams

The Verge

Slack partners with Amazon to take on Microsoft Teams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5일 오전 1:3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소신

    

    ... 더 보기

    CLSA는 정샘물뷰티의 투자 우선협상자로 선정됐다. 정샘물뷰티는 지난해 매출 1100억원, 영업이익 121억원을 기록했다. 매장은 200여 개국에 1300여개 이상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2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이번 투자 유치에서 기업가치 30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EBITDA 대비 15배의 몸값을 인정 받은 셈이다.

    ... 더 보기

    [단독] 글로벌 PEF CLSA, 'K뷰티 대모' 정샘물에 베팅

    n.news.naver.com

    [단독] 글로벌 PEF CLSA, 'K뷰티 대모' 정샘물에 베팅

    조회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