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리모트 환경에서 동료들과 관계 쌓기(Informal Communication in an all-remote environment)> 유럽을 포함한 전 세계에선 아직도 원격근무를 실행하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PM(Product manager)의 관심 1순위는 '이 상황에서도 어떻게 효과적으로 일해서 성과를 낼 수 있을까?'겠지만,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리모트 환경에서도 동료들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관계 뿐 아니라 각자의 mental health를 위해서도 '의식적으로' 인간적이고 재미있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구요. 팬데믹 이전부터 완전한 원격근무를 실시해 온 회사들의 경험과 지혜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게 많습니다. 소스코드 관리툴로 유명한 Gitlab에선 자신들만의 문화와 팁을 공개해 놓았습니다. 여러가지 내용 중 가장 눈에 띈 것은 Visiting grants 였습니다. 팀원을 (물리적으로) 만나러 갈 때의 여행비를 지원해주는 것으로 금액이 크진 않지만(한 사람 만날 때 $150)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더라구요. 😄 팀원에 대한 관리가 PM의 main role은 아니지만 팀의 리더로서(저는 PM이 관리자는 아니지만 '리더'라고 생각해요) 팀원들이 서로 신뢰하고 연결되어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봅니다.

Informal Communication in an all-remote environment

GitLab

Informal Communication in an all-remote environment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19일 오전 6: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오프라인 강의] 취업 전략

    회사에서 진행하는 무료 강연 계획이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 초대하고 싶습니다.

    ... 더 보기

    조회 671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