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리모트 환경에서 동료들과 관계 쌓기(Informal Communication in an all-remote environment)> 유럽을 포함한 전 세계에선 아직도 원격근무를 실행하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PM(Product manager)의 관심 1순위는 '이 상황에서도 어떻게 효과적으로 일해서 성과를 낼 수 있을까?'겠지만,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리모트 환경에서도 동료들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관계 뿐 아니라 각자의 mental health를 위해서도 '의식적으로' 인간적이고 재미있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구요. 팬데믹 이전부터 완전한 원격근무를 실시해 온 회사들의 경험과 지혜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게 많습니다. 소스코드 관리툴로 유명한 Gitlab에선 자신들만의 문화와 팁을 공개해 놓았습니다. 여러가지 내용 중 가장 눈에 띈 것은 Visiting grants 였습니다. 팀원을 (물리적으로) 만나러 갈 때의 여행비를 지원해주는 것으로 금액이 크진 않지만(한 사람 만날 때 $150)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더라구요. 😄 팀원에 대한 관리가 PM의 main role은 아니지만 팀의 리더로서(저는 PM이 관리자는 아니지만 '리더'라고 생각해요) 팀원들이 서로 신뢰하고 연결되어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봅니다.

Informal Communication in an all-remote environment

GitLab

Informal Communication in an all-remote environment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19일 오전 6: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 잡초를 없애려면 잡초 말고 오히려 잔디를 깎아야 한다 >

    1. 자기 철학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일까?

    ... 더 보기

    < 가장 예쁜 사람이 아니라, 1등 할 사람에게 투표하라 >

    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 더 보기

    동기부여는 세수하듯해라...250710

    1.●마인드를 바꾸는 순간 실행과 결과는 따라온다.
    2.능력은 욕망과 함께 온다.

    ... 더 보기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