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리모트 환경에서 동료들과 관계 쌓기(Informal Communication in an all-remote environment)> 유럽을 포함한 전 세계에선 아직도 원격근무를 실행하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PM(Product manager)의 관심 1순위는 '이 상황에서도 어떻게 효과적으로 일해서 성과를 낼 수 있을까?'겠지만,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리모트 환경에서도 동료들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관계 뿐 아니라 각자의 mental health를 위해서도 '의식적으로' 인간적이고 재미있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구요. 팬데믹 이전부터 완전한 원격근무를 실시해 온 회사들의 경험과 지혜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게 많습니다. 소스코드 관리툴로 유명한 Gitlab에선 자신들만의 문화와 팁을 공개해 놓았습니다. 여러가지 내용 중 가장 눈에 띈 것은 Visiting grants 였습니다. 팀원을 (물리적으로) 만나러 갈 때의 여행비를 지원해주는 것으로 금액이 크진 않지만(한 사람 만날 때 $150)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더라구요. 😄 팀원에 대한 관리가 PM의 main role은 아니지만 팀의 리더로서(저는 PM이 관리자는 아니지만 '리더'라고 생각해요) 팀원들이 서로 신뢰하고 연결되어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봅니다.

Informal Communication in an all-remote environment

GitLab

Informal Communication in an all-remote environment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19일 오전 6: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그 다음 과제는요?

    '

    ... 더 보기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다음 과제는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다음 과제는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다음 과제는

    《끝나지 않는 존재의 의미》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871


    일 잘하는 사람은 AI를 어떻게 쓸까?

    

    ... 더 보기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 

    저장 5 • 조회 506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