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위워크와 패스트파이브의 경쟁에서 승자는 누가 될까요? 위워크가 한국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는데, 이에 반해 패스트파이브의 성장세는 어떤 원동력 덕분인지 궁금했습니다. 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인터뷰입니다. 권혁주 논설위원은 중앙일보 뉴스룸 프로젝트 때문에 다른 조직에서 온 기자들을 따뜻하게 맞이해줬던 분입니다. "위워크는 왜 어려움을 겪나?" "공유 오피스는 공간을 빌려 다시 임대를 주는 사업이다. 처음에 건물주에게서 공간을 얼마나 싸게 임대하느냐가 경쟁력과 수익성을 좌우한다. 싸게 빌리려면 국가, 지역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시간이 필요하다. ... 위워크는 급격하게 해외 사업을 확장했다. 이러면 싸게 빌딩을 얻기 어렵다. 공유 오피스는 글로벌 회사가 로컬에서 하기 힘든 부분이 있는데, 과신했던 것 같다." 공유 오피스는 김대일 대표가 말한 것처럼 본질은 부동산 사업입니다. 공유 오피스라는 재임대 사업을 통해 건물주와 공유 오피스 사업자가 서로 윈윈을 해야 합니다. 공유 오피스 사업자는 좋은 건물을 싸게 빌리는 게 가장 중요할 것입니다. 건물주는 공유 오피스 사업으로 인해 건물 가치가 올라가야만 서로 윈윈이 됩니다. 위워크는 서울의 중심부에는 다 들어서 있습니다. 패스트파이브 역시 위워크와 비슷한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저는 둘의 차이가 그리 큰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런데도 코로나19로 인한 반사이익은 위워크보다 패스트파이브가 더 많이 얻은 것 같습니다. 박지웅 이사회 의장은 "사업 모델의 실패라기보다 경영의 실패라고 본다. 결과적인 실패가 아니고 과정에서 실패를 겪는 중이다. 미국에서는 위워크가 잘 되고 있다"라고 부연 설명을 합니다. 오히려 저는 이 말이 위워크의 어려움을 설명해주는 것 같습니다. 아시다시피 위워크는 2019년 상장을 하려다가 그만뒀습니다. 공동 창업자인 애덤 뉴먼의 비리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경영상의 문제가 비즈니스에 타격을 준 셈입니다. 스타트업의 성장은 창업가와 함께 하는 좋은 멤버들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그런데 팀 멤버를 이끌어야 할 창업가에게 문제가 있다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를 위워크가 잘 보여줍니다.

[비즈니스 현장에 묻다] "창의는 다양한 만남에서 싹튼다"

중앙일보

[비즈니스 현장에 묻다] "창의는 다양한 만남에서 싹튼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22일 오후 11:2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전시회 부스 K31: VLM OCR 집중 시연

    ... 더 보기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

    아직도 루비 온 레일즈

    ... 더 보기

    Ruby on Rails #46번째 소식

    팁스터

    Ruby on Rails #46번째 소식

     • 

    저장 4 • 조회 2,547


    < 당신이 바쁜데도 성과가 없는 이유 >

    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5 • 조회 1,407


    세상 가장 어려운 일

    

    ... 더 보기

    조회 1,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