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포스팅했습니다. 팀 블로그에 포스팅을 했고요. Deep Collaboration이란 주제로 JTBD 관점에서 협업과 생산성 모두를 겨냥한 SaaS 트렌드에 대하여 정리했습니다^^ “피그마와 같이 이제 앞으로 우리는 업무 툴(Tool) 고르는 기준으로 ‘일이 되게 만들기(Jobs to be Done)’ 위해 좋은 생산성 기능 외에도 해당 툴이 얼마나 효율적인 협업을 지원하는지도 고려하게 될 것입니다. 최근 업계에선 Figma와 같이 단일한 프로덕트에서 생산성과 협업 기능을 결합하여 특정한 과업을 완료할 수 있는 프로덕트를 딥 콜라보레이션(Deep Collaboration) 제품이라 부릅니다.”

SaaS 업계의 떠오르는 키워드, 'Deep Collaboration'

Medium

SaaS 업계의 떠오르는 키워드, 'Deep Collaboration'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0월 19일 오전 7:37

 • 

저장 2조회 1,31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소신

    

    ... 더 보기

    CLSA는 정샘물뷰티의 투자 우선협상자로 선정됐다. 정샘물뷰티는 지난해 매출 1100억원, 영업이익 121억원을 기록했다. 매장은 200여 개국에 1300여개 이상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2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이번 투자 유치에서 기업가치 30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EBITDA 대비 15배의 몸값을 인정 받은 셈이다.

    ... 더 보기

    [단독] 글로벌 PEF CLSA, 'K뷰티 대모' 정샘물에 베팅

    n.news.naver.com

    [단독] 글로벌 PEF CLSA, 'K뷰티 대모' 정샘물에 베팅

    조회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