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란 무엇인가>   "<야구란 무엇인가>를 쓴 <뉴욕 타임스> 야구담당 기자 레너드 코페트는 “야구팬은 누구나 자기가 야구를 처음 좋아했을 때로부터 약 10년간을 개인적인 황금기로 여기고 있다. 그 사람에게는 그 10년이 차후 야구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의 기준이 된다”고 했다. 그 ‘10년’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야구장은 여전히 적막합니다. 전체 일정의 40% 가까이 치른 지금까지도 관중 입장은 허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에 중계권이 판매되면서 리그의 인지도가 올라가기는 했지만, 역시 관중없는 야구경기는 상품성이 떨어집니다. 2020년은 구단에게도, 팬에게도 아쉬운 해로 기록될 예정입니다. 프로야구는 강력한 온/오프라인 결합 콘텐츠입니다. 한 해 약 700~800만 명이 야구장을 찾습니다. 평소보다 늦게 시작되어 관심이 더 높았던 올해 개막전 5경기를 TV로 지켜본 시청자는 200만 명이 넘었습니다. 모바일에서의 인기는 더해서 네이버를 통해 시청한 팬들만 750만 명입니다. 카카오/아프리카TV 등 타 플랫폼들을 포함하면, 개막 주간에 야구를 본 사람들의 숫자는 1천만 명까지 올라갑니다. KBO리그는 매 회차 1만 명 이상이 모이는 오프라인 이벤트 720회의 합이자, 경기당 100만 명 이상이 관람하는 온라인 콘텐츠이기도 한 셈입니다. 브랜드 충성도와 팬덤이라는 측면에서 보더라도 프로야구는 흥미로운 콘텐츠입니다. 최근 두산그룹의 위기로 인해 두산 베어스 매각설이 언론을 통해 흘러나온 적이 있습니다. 포브스코리아 등에서는 베어스 구단의 가치를 약 2천억 원으로 산정하기도 했지요. 그러나, 팬들이 각 구단을 향해 갖고 있는 마음은 단순한 언급되는 숫자 이상일 것입니다. 레너드 코페트가 이야기했듯 10대 전후에 야구를 처음 접한 이후 약 10여 년간 야구에 대해 애정을 쌓아 온 팬들에게, 좋아하는 구단은 자신들의 유년기 10년 그 자체이기도 할테니까요. 마치, 음악처럼 말이지요.

수리야, 너도 팬들의 함성으로 날았구나

한겨레

수리야, 너도 팬들의 함성으로 날았구나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7월 9일 오후 11:4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당신이 바쁜데도 성과가 없는 이유 >

    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5 • 조회 1,415


    우리가 하는 ‘회사 일’은 대부분 사람으로부터 배우게 된다. 그만큼 그 일을 가르쳐 주는 이가 누구인가에 따라 나의 퍼포먼스도 일부 결정된다. 그(녀)가, 나를 키우려는 능력과 자질, 충분한 노력을 하려는 사람인지 아닌지에 따라 나의 실력은 평범해질 수도 혹은 일취월장하여 청출어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 더 보기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 

    조회 490


    세상 가장 어려운 일

    

    ... 더 보기

    조회 1,095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 돌파 및 사업 확장

    ... 더 보기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8000억원…7조원 껑충

    파이낸셜뉴스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8000억원…7조원 껑충

    사모펀드(PEF) 운용사 VIG파트너스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약 40% 인수를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 더 보기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인수에 UAE 무바달라·골드만삭스 참여…1조원 투자 추진 - 매일경제

    매일경제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인수에 UAE 무바달라·골드만삭스 참여…1조원 투자 추진 - 매일경제

    조회 593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