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인접 사용자를 통해서 시장 확장하기🚀] 인스타그램의 VP Growth 였던 Bangaly Kaba의 아티클입니다. 꽤 긴 글인데 발견하자마자 다 읽었네요. 인스타그램, 슬랙, 우버, 인스타카트 등을 예로 들면서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 왜 인접 사용자가 성장에 중요한가? - 어떻게 인접 사용자를 찾아내는가? - 어느 인접 사용자에 집중할 것인가? 저에게 인상적인 부분은 - 현재 사용자, 특히 파워 사용자에 집중해서는 절대 양적인 성장을 할 수 없다는 것. - 시장 사이즈에 집착해서 현재 사용자와 전혀 다른 특성을 가진 사용자 층으로 옮겨가려고 하면, 완전히 새로운 가치를 제안해야 하기 때문에 힘들다는 것. 어떻게 보면 캐즘 마케팅과도 연결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요. 캐즘은 B2B에 좀 더 치중된 이야긴데, 이 아티클은 Consumer 서비스를 많이 예로 들고 있네요. 객단가를 늘리는 방향이 아닌 사용자 저변을 빠르게 넓혀야 하는 서비스(=퍼블리 뉴스같은!)를 하고 있다면 꼭 보시길 추천합니다.

The Adjacent User Theory

andrewchen

The Adjacent User Theory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7월 21일 오후 1:2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CLSA는 정샘물뷰티의 투자 우선협상자로 선정됐다. 정샘물뷰티는 지난해 매출 1100억원, 영업이익 121억원을 기록했다. 매장은 200여 개국에 1300여개 이상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2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이번 투자 유치에서 기업가치 30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EBITDA 대비 15배의 몸값을 인정 받은 셈이다.

    ... 더 보기

    [단독] 글로벌 PEF CLSA, 'K뷰티 대모' 정샘물에 베팅

    n.news.naver.com

    [단독] 글로벌 PEF CLSA, 'K뷰티 대모' 정샘물에 베팅

    조회 268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소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