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인접 사용자를 통해서 시장 확장하기🚀] 인스타그램의 VP Growth 였던 Bangaly Kaba의 아티클입니다. 꽤 긴 글인데 발견하자마자 다 읽었네요. 인스타그램, 슬랙, 우버, 인스타카트 등을 예로 들면서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 왜 인접 사용자가 성장에 중요한가? - 어떻게 인접 사용자를 찾아내는가? - 어느 인접 사용자에 집중할 것인가? 저에게 인상적인 부분은 - 현재 사용자, 특히 파워 사용자에 집중해서는 절대 양적인 성장을 할 수 없다는 것. - 시장 사이즈에 집착해서 현재 사용자와 전혀 다른 특성을 가진 사용자 층으로 옮겨가려고 하면, 완전히 새로운 가치를 제안해야 하기 때문에 힘들다는 것. 어떻게 보면 캐즘 마케팅과도 연결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요. 캐즘은 B2B에 좀 더 치중된 이야긴데, 이 아티클은 Consumer 서비스를 많이 예로 들고 있네요. 객단가를 늘리는 방향이 아닌 사용자 저변을 빠르게 넓혀야 하는 서비스(=퍼블리 뉴스같은!)를 하고 있다면 꼭 보시길 추천합니다.

The Adjacent User Theory

andrewchen

The Adjacent User Theory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7월 21일 오후 1:2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끝나지 않는 존재의 의미》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860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그 다음 과제는요?

    '

    ... 더 보기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다음 과제는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다음 과제는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다음 과제는

    일 잘하는 사람은 AI를 어떻게 쓸까?

    

    ... 더 보기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 

    저장 5 • 조회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