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개발자와 클라이언트 개발자

“서버 개발자예요, 클라이언트 개발자예요?” 누가 묻는다면 뭐라고 대답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글쎄요, 둘 다 하긴 하는데.. 둘 다 잘하지는 못해요 헤헤.” 이렇게 대답하지 않을까? 스타크래프트를 처음 접했을 때. 시작은 저그였습니다. 왜 저그를 골랐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저그, 테란, 프로토스를 각각 맛보다가 저그가 제일 마음에 들었던 건지 아님 제일 편했던 건지. 그렇게 몇 년을 하다가 나중에는 테란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저그가 지겨워졌나? 임요환하고 이윤열이 멋있어서 그랬나? 테란의 전성시대라서 그랬나? 모르겠습니다. 각자 조금씩 영향이 있지 않았을까? 이후로는 테란을 더 많이 했습니다. 저그와 테란과 프로토스의 경험치를 떠올려 보면 45% 대 45% 대 10% 정도가 아니었을까? 가끔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이러다간 죽도 밥도 안된다. 저그든 테란이든 뭐 하나라도 제대로 하는 게 있어야지. 내 주종족이 뭐냐 물으면 할 말이 없네. 내가 내 주종이 뭔지 모른다는 게 말이 되나? 프로게이머 중 이런 사람이 있는가? 아니, 없지. 한 편으론 이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아이, 몰라. 그냥 재미로 하는 건데 뭘 그렇게 따져. 그냥 즐기면 되지. 개발자가 되어서도 비슷했습니다. 백엔드 개발이 45% 앱개발이 45% 프론트엔드 개발이 10%. 클라이언트 개발자냐 서버 개발자냐 물으면 할 말이 없었습니다. 둘 다 하긴 하는데 뭐가 주종이라 확실하게 말할 수가 없어. 더 이상 이 걱정을 하지 않습니다. 1인 개발자의 관점에서 보면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다 할 수 있다는 것은 축복입니다. 각각 최고 레벨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이 둘을 모두 할 줄 아는 사람이 별로 없기 때문에. 그 자체로 특별합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개발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하나만 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함께 돌아가야 하는 구조. 이 둘을 모두 다룰 수 없다면 1인 개발자로서 만들 수 있는 것은 별로 없습니다. 날씨, 다이어리, 투두앱이나 만들지 않을까. 반면 둘을 모두 다룰 수 있다면.. 만들 수 있는 것은 무한에 가깝습니다. 1인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모두 해본 것은 아닙니다. 1인 개발자라는 말도 없었고 그게 뭔지도 몰랐습니다. 그냥 저그와 테란을 해보듯이. 그냥 재미로. 다른 종족이 너무 궁금해서. 이 선택을 절대 후회하지 않습니다.

서버 개발자와 클라이언트 개발자

K리그 프로그래머

서버 개발자와 클라이언트 개발자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13일 오전 3:20

 • 

저장 99조회 7,933

댓글 5

  • 컴퓨터 공학에 속한다면 그것은 즐거운 것입니다.

  • 한 포인트는 추측이 됩니다. ㅎㅎ 내가 스타를 접 하고선 내가 뭘 잘하고 재밌어하는지 모르니 이것 저것 하다보면 난 이 종족이 나랑 잘 맞아 . 그래 난 테란이 재밌어 이렇게 흘러가듯이 개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 되어지네요. 특히나 주니어 개발자는 프론 백엔 가리지 말고 알아갈 때는 다 해보는게 좋겠단 생각이 들어요. ㅎㅎ 추후에도 바뀔 수도 있지마요. ㅎㅎ

  • 어려운만큼 분명 큰 스펙이 될것입니다

  • 맵의 모든 지형지물을 파악하고있어도 테란밖에 할줄 모른다면 대테전 외엔 어려움이 따르는법이죠 드라군으로 마인제거는 못하더라도 드라군의 사거리와 벙커마린의 사거리 모두 알아야 gg를 면할 수 있고 뮤짤은 못하더라도 뮤탈에 대해 잘 알아야 터렛을 알맞은 타이밍에 필요한 만큼만 설치할 수 있겠죠 멋지십니다

  • 최근에 nest를 두 달 정도 공부하다 다시 리액트를 하려고 하니 까먹은 부분들이 많더라고요. 프론트로 취업을 하려고 하는 상황이거든요! 정말 저도 재밌어서 한 것이었지만 잘못된 선택인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들었었는데, 이번 글을 읽고 마음이 편안해 진 거 같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함께 읽은 게시물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성장하는 데이터 분석가에게 필요한 3가지 마인드셋] 2

지난 시간에 이어서 데이터 분석가가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3가지 마인드셋(Mindset)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여기서 마인드셋(Mindset)은 하나의 가치관 또는 사고 방식이라고 이해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성장하는 데이터 분석가는 1. 분석적 사고(Analytical mindset) 2. 문제-해결 논리(Problem-solving Approach) 3. 의사소통 (Communicational mindset) 이 3가지를 갖추어야 합니다. 그럼 두번째 문제-해결 논리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요? [...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 

저장 135 • 조회 3,654


감사합니다. 멋진 서비스 잘 만들어보겠습니다.

... 더 보기

조회 1,148


Testing Library 비동기 테스트

... 더 보기

 • 

저장 10 • 조회 3,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