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은주의 AI 이야기] 마침내 발표된 GPT4···어떤 '물건'인가
zdnet.co.kr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15일 오전 5:17
멀티모달 AI가 더 발전하겠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김지현 네, 그럴거 같습니다. 이미지, 음성, 영상에 대한 재생성, 가공, 내용 파악, 심지어 이미지를 모아서 영상으로 만들어주는 기술도 이미 나와 있기에 이 분야의 발전은 계속 될 거 같습니다. 무엇보다 유료기는 하지만 API를 공개하기때문에 기존 서비스 또는 솔루션에 통합 또는 보조하는 형태의 연계성을 구현함으로써 다른 서비스들까지 영향을 미칠수 있는 파급력이 더 크다고 봅니다. 일례로 현재의 대부분 단순챗봇서비스들의 거의 인간과 같은 답변을 줄 수 있는 chatgpt를 적용한다면 더 활용도가 높아질거라 생각합니다. 짧은 소견 드려봅니다. ^^
이런정리 너무 좋습니다.
@최광수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이런 정리 위주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장익순 미력이나마 도움되신다니 저도 감사합니다~^^
문득 지피티3 공개는 지피티4를 위한 포석이었나 싶은 생각도 드네요ㅎㅎ 정리 고맙습니다!
@호잇ㅎㅎ 그럴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다음 4.5나 5가 현재의 단점이나 한계를 보완하게 된다면 정말 특이점을 넘어가게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트렌드 강연과 컨설팅할 때마다 이야기해왔던 가장 우려스러웠던 일이 현실화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내면서 더 경제규모를 키워낼 거라는 샐럽 미래학자들과 샐럽 기술쟁이들의 기술 찬양은 민망한 일이 되었다. 그들 말이 완전히 틀린 건 아니
... 더 보기AI로 인해 영어는 이제 진짜 말하기만이 답 입니다. 그리고 말만 할 줄 알면 기회가 정말 크게 넓어질거구요.
이제는 모두가 체감하고 있듯이 앞으로 영어로 읽기 쓰기는 큰 의미가 없어지겠지만, 말하기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거든요.
1.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갖기 쉬운 프레임은 대개 하위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