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만 2년이 조금 넘은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과거의 저와 비슷한 고민을 하고 계시네요. 저도 꽤 긴 시간 유지보수를 담당하며 글쓴이분처럼 실력에 대한 위기감을 느꼈거든요. 그 때부터 어떻게 이직을 준비했는지를 전달드리면 도움이 될까 싶어 댓글 남기게 됐어요.

Java/Spring 학습은 김영한님 인프런 강의를 통해서 진행하시면 좋겠네요. 펀더멘탈도 잘 잡아주시고 따라가기 좋아요. Java/Spring도 중요하지만 오히려 코딩 테스트를 열심히 푸시는게 좋아요. 요샌 대부분 서류 + 코딩 테스트를 실시해서 아무리 열심히 스프링을 학습해도 코테를 통과하지 못하면 기회가 없더라구요 :(

이후에는 자료구조, 알고리즘,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컴퓨터 사이언스 기본기를 다지면 도움이 되실 거에요. 전 기술 서적, 온라인 강의, 스터디 등을 진행하며 준비했어요. (만약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댓글 추가로 남겨놓을게요)

동시에 현재 상태의 이력서를 작성해보고 어떤 일을 했는지 정리해보세요. 원하시는 기업의 JD와 비교해보면 하드 스킬, 소프트 스킬에 대한 보완점이 보이실 거에요.

본문에서 현재 유지보수하는 프로그램을 '이직을 위해 최신 기술로 리팩토링'한다고 하셨는데요. 난관이 아마 많을 거에요. 최신 기술이 유지보수하고 계시는 소프트웨어에 적합하지 않을수도 있고, 팀 동료분들의 합의를 구하기 어려울수도 있거든요.

만약 저라면 팀, 회사에 기여할만한 일이 있는지 찾아볼 것 같아요. 팀 동료분이나 현업분들의 반복되는 수작업을 자동화시키는 일, 문서화되지 않은 모듈들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작업 등이 있겠네요. 최신 기술을 멋드러지게 사용하시는 분도 좋지만, 제 생산성을 향상시켜주시는 동료분과 같이 일하고 싶더라구요.

마지막으로 내채공 고민에 대해서 얘기해보자면, 저한테는 성장에 대한 갈증과 교환하기에 그렇게 비싼 금액은 아니었어요. 글쓴이님의 경제적 환경이 어떤지 짐작할 수는 없기에 함부로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내채공 금액이 적지 않고, 채용 시장이 많이 얼어있다고 하니 지금 느끼시는 갈증을 꾸준히 유지하며 학습하시면 좋은 결과 있으실 것 같습니다. 응원할게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21일 오전 7:37

조회 21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 Spring Rest Docs 로 Swagger API 문서 관리 자동화 > 💬 Spring Rest Docs 란? Spring REST Docs 는 RESTful 서비스의 문서화를 도와주는 도구이다. 문서 작성 도구로 Asciidoctor 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며, 이것을 통해 HTML 문서를 생성한다. 필요한 경우 Markdown 문법을 사용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RESTful API를 문서화 할때 중요한 포인트는 API 에서 필요한 HTTP 요청과 응답의 리소스를 설명하는 것인데 Spring REST Docs 를 사용할 경우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이러한 리소스와 HTTP 요청/응답에 대한 세부 내용을 문서화하는데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 💬 Swagger 란? RESTful API 를 약속된 규칙에 따라 json 이나 yaml 형식으로 문서화한 Open API Specification(OAS) 라는게 있는데 이 문서를 관리하기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레임워크다. API 문서 자동화 도구로 Spring REST Docs 의 비교군으로 자주 등장하는데 Spring 을 사용할 경우 서비스 코드에 어노테이션... 더 보기

    [NHN FORWARD 2020] MSA 환경에서 API 문서 관리하기: 생성부터 배포까지

    www.youtube.com

    [NHN FORWARD 2020] MSA 환경에서 API 문서 관리하기: 생성부터 배포까지

    여러분 PostgreSQL 프로시저는 Python, JavaScript은 물론 Perl, Java, Lua 등도 사용할 수 있답니다~* 대부분 구식🤭 MySQL만 쓰셔서 모르시겠지만.. (도망간다)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간밤에 또 빅 AI 업데이트가 있었군요. Claude 4 Opus, Sonnet 패밀리가 발표되었습니다.


    성능이나 다양한 능력이 향상되었고, 트렌드에 맞게(?) 소프트웨어 개발 성능이 또 크게 올랐습니다.


    ... 더 보기

    애니를 봐도 개발 생각뿐

    "개발은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할 때가 가장 즐거우니까"

    ... 더 보기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4,947